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어 발음 수업에 대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좀 더 개선된 발음 수업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학습자 요인과 교육 내용 요인, 학습 환경 요인의 범주로 개발된 설문 조사를 초급 학습자 1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능 통합형 정규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발음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응답자 모두에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정규 수업 외 발음 수업에 대한 학습자 요구는 매우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개인차 반영, 기존의 모방 학습 방식에 대한 탈피, 수준을 고려한 수업 진행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자신들의 발음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자료의 활용과 개별화가 가능한 발음 실습실, 수준차를 고려한 교보재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수준별 학습에 대한 강한 요구와 발음에 대한 학습자들의 준비도를 고려하면 더 나은 발음 수업으로서 개별화 수업 모델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개별화 수업을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진단과 목표 세분화, 개별 목표에 맞는 활동의 제시를 기본적인 설계 지침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인식을 바탕으로 개별화 수업의 적용 가능성과 필요성을 제언하는 예비적 연구로서,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으로의 교육과정과 수업 모형의 개발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ed for improved pronunciation classes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novice learners. As a result of survey in the categories of learner factors, educational content factors, and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satisfaction with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function-integrated regular class was low for all respondents, and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y did not realize that pronunciation education was done. Second, learn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pronunciation classes outside of regular classes was very clear. In particular, learners’ demands for reflecting individual differences,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imitation learning methods, and taking classes in consideration of their level were found to be high. Third, although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ir pronunciation class content was high, the satisfaction level was not high. Lastly, there was a high demand for a pronunciation practice room and a textbook considering the level differe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pronunciation classes meet the requirements of differentiated classes in terms of learners’ strong demands for learning by level and learners’ readiness for pronun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