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도시문화와 소비문화를 중심으로 한 근대일본의 모던 문화는 1930년을 전후하여 정점에 달했다. 이 시기에 나타난, 소위 “쇼와 모더니즘(昭和モダニズム)”를 견인한 것 중 하나가 잡지 미디어라 할 수 있다. 1930년대 초기에는 수많은 잡지가 창간되었는데 특히 다양한 장르의 대중잡지가 등장하였다. 그중에 이 논문에서 주목하는 것은 당시 유행의 첨단을 달리던 모던 문화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모던’계 잡지이다. 1930년대에 일본 대중문화의 중심이 된 모던 문화의 존재와 문화의 확산 및 전파를 담당했던 잡지 미디어의 역할을 고려하면 ‘모던’계 잡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은 근대일본의 대중문화 연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전제 아래 이 논문에서는 1930년대에 간행된 일본의 ‘모던’계 잡지 가운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간행된 잡지를 분석한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은 『모던 도쿄(モダン東京)』『모던 가나자와(モダン金沢)』『모던 요코하마(モダン横浜)』이며 이 잡지들의 분석을 통하여 대중문화가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또 그러한 고찰을 통해 중앙(제국 일본 또는 도쿄)를 중심으로 논해져 온 기존의 1930년대 대중문화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A number of magazines, especially various genres of mass magazines, were launched in the early part of the 1930’s. Of particular note is the “modern”-related magazines that featured the trendiest modern culture of the time. Given that the modern culture was at the centre of Japanese mass cultures in the 1930’s and the magazine media played a role in spreading cultures, it is reasonable to expect that the enquiry into the “modern”-related magazines will reveal important aspects of the modern mass culture in Japan. Among the “modern”-related magazines published in Japan in the 1930’s, the present article focusses on the magazines that were launched in communal societies. The analysis of these three magazines reveals how they were accepted in the communal societies. This analysis provides a unique perspective of mass cultures in Japan because previous studies on mass cultures in the 1930’s have focussed on the “centre” such as Imperial Japan itself or Tokyo.


都市文化と消費文化を中心とした近代日本のモダン文化は1930年を前後して頂点に達した。この時期のいわゆる「昭和モダニズム」を牽引したものの一つが雑誌メディアである。1930年代の初期には多くの雑誌が創刊され、とりわけ多様なジャンルの大衆雑誌が登場したが、その中で本稿が注目するのは、当時流行の先端を走ったモダン文化を取り上げた「モダン」系雑誌である。 1930年代において日本の大衆文化の中心にあったモダン文化の存在と、文化の拡散や伝播を担っていた雑誌メディアの役割を考えると、「モダン」系雑誌について考察することは近代日本の大衆文化研究において重要な示唆を与えうると考えられる。 以上を踏まえて、本稿では1930年代に刊行された日本の「モダン」系雑誌の中で地域社会を中心に刊行された雑誌の分析を試みる。分析対象とするのは『モダン東京』『モダン金沢』『モダン横浜』であり、これらの分析を通じて大衆文化が地域社会でいかに受容されたかを考察する。そうすることで、中央(帝国日本または東京)を中心に論じられてきた従来における1930年代の大衆文化研究に新たな視座を提示することを試みた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