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복잡하고 불확실한 상황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스마트워크(smart work)를 통한 일 하는 방식의 변화가 공직사회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민첩성(agility)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 서 긍정적 나르시시즘(narcissism)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수립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 해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20년 공직생활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설 검증에 대한 결과 스마트워크는 조직의 회복탄력성과 민첩성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직자의 긍정적 나르시시즘은 스마트워크와 회복탄력성, 민첩성 두 변수 간에서 매개역 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를 대비하여 공직사회도 위기 대응을 통한 발전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스마트워크 환경 을 발전시켜 제도적 정착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공직자 개인의 나르시시즘 측면에도 인적자원 관리 차원에서 관심을 기울여 공직사회 내에서 회복탄력성과 민첩성을 인식시키고 이를 제고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complex and uncertain situations, the effect of a change in working method through smart work on the resilience and agility of the public service and positive narcissism in this relationship We looked at the mediating effec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establishe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2020 Public Service Life Survey」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it was found that smart work has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resilience and agility, respectively, and the positive narcissism of public official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smart work, resilience, and agility. was confirm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service society through crisis response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and with corona era,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mart work environment and establish an institutional settleme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meaningfu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arcissism aspect of individual public officials from the leve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recognize and enhance resilience and agility within the public servic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