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로컬 및 글로컬한 부산지역의 현안 문제를 발굴하고, 그 해결방안으로서 커뮤니티 소통지도를 만들고, 그 결과물을 플랫폼에 공유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 교양선택강좌 중 현대지리학의 이해라는 강좌를 1학기 동안 운영하면서 예비교사들이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한 것이다. 강좌는 총 57명의 예비교사들을 두 개반, 각반 5개 조, 총 10 개조로 운영되었다. 프로젝트 학습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 질적 분석과 빅데이터 기법에 의한 워드클라우드, 감성 및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효과 및 만족도에 대한 양적 검증결과 5단계 리커트 척도 결과 평균 4.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구조화된 질문지에 의한 질적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은 프로젝트 학습이라는 말만 들었지 이제까지 제대로 프로젝트 학습을 체계적으로 수행한적이 거의 없었으며, 커뮤니티 소통지도 만들기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지역 특히 부산에 대한 관심, 인식 뿐만 아니라 지식을 새롭게 할 수 있었다. 특히 예비교사들은 커뮤니티 소통지도 만들기를 통해 참여, 협력, 소통, 공유하면서 지역현안문제해결 과정에서 집단지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프로젝트 학습 및 수행과정은 효과 및 만족도에 의미있게 나타났다. 커뮤니티 소통지도는 디지털 지구로 하나된 세계 속에서 자신의 지역을 넘어 타지역 및 타국가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에 대한 새로운 관심, 인식, 지식을 넘어 지역에 대한 자긍심, 지역애 뿐만 아니라 세계 속에서 지역을 생각할 수 있는 세계 공간시민성 역량도 강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regional issues in Busan through projct-based learning, to create a community communication mapping as a solution, and to share the results on the platform. In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a project learning task while operating a course called the Understanding of Current Geography The course was operated in two classes, with a total of 57 pre-service teachers in ten groups. To verify the project-based learning results, word cloud, sentiment and network analysis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big data technique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quantitative verification on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project learning, the average result of the 5-step Likert scale was 4.4, which was very high.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b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pre-service teachers have only heard the word project-based learning, but have hardly ever systematically conducted project-based learning. The community communication mapping project was able to renew not only interest and awareness of Busan, but also knowledge. In particular,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monstrate their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process of solving regional issues while participating, cooperating, communicating, and sharing through community communication mapping. Overall,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were very high. Community communication mapping has become interested in other regions and other countries beyond one's own region in a world united as a digital earth. In addition, the global spatial citizenship capacity to think of regions in the world has been strength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