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과학적 실천으로서의 탐구의 중요성이 강조된 이후 국내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을 목표로 제시하며 과학적 문제 해결을 위해 실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증거를 수집하여 새로운 과학 지식을 구성할 것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과학적 실천으로서의 탐구가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았으며, 이러한 모습은 교과서에 제시된 이론과 실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불일치 상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끓는점 측정 실험을 예시로 교과서 속 탐구 활동을 분석하여 불일치 상황의 발생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끓는점 측정 실험의 관찰 결과만을 서술하였을 때 교과서에서 요구하는 답과 다른 결과가 도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험자의 조작 오류 혹은 외부 변인의 개입에 의한 것이 아닌 실험 자체가 학교 실험실 환경에서는 통제될 수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구성된 것에서 기인하였다. 하지만 불일치 상황에 대한 대처가 되어있지 않아 학생과 교사들로 하여금 원활한 탐구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과학적 실천으로서의 탐구에 부합하지 않는 모습이다. 추후 후속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상의 탐구 활동 체계를 전반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fter the importance of inquiry as a scientific practice was emphasized, the domestic science curriculum suggested the goal of improving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emphasized the composition of new scientific knowledge by collecting evidence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experiments to solve scientific problems. However, in the actual school field, the exploration as such a scientific practice was not properly reflected, and this aspect was noticeable in the inconsistency situation between the theory presented in the textbook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occurrence of inconsistency situations by analyzing inquiry activities in textbooks as an example of a boiling point measurement experi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only the observation results of the boiling point measurement experiment were described, it was found that different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nswer required in the textbook, which was not due to manipulation errors or intervention of external variables. However, the inconsistency situation has not been dealt with, preventing students and teachers from conducting smooth exploration, which does not seem to be consistent with the exploration as a scientific practice. It will be necessary to check the overall inquiry activity system in the curriculum through follow-up research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