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실격’은 얕은 잠에 뒤척대고, 소진될 때까지 우리 자신을 몰아붙이게 만드는 불안의 근원이다. ‘능력주의 Meritocracy’는 시대의 ‘정언명령’을 자처하기 때문이다. 능력주의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지위나 권력이 주어지는 사회에 대한 약속이다. 그러나 진단 자체가 진부할 만큼 부모의 계층 배경, 부의 세습, 특권의 대물림, 우수한 교육, 사회적 자본, 시대적및 배경적 상황 등 비능력적 요인은 직업과 소득의 격차로 이어진다. ‘능력주의’는 차별과불평등을 가리는 베일일 뿐이다. 이러한 사실은 ‘실격’이 철학적⋅정치적 사유의 언어로벼려질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격’을 단순히 경쟁에서의 탈락이 아니라 삶을 구하기위한 전략으로 제시하는 임솔아의 문학은 혐오와 우울의 시대를 헤쳐 나갈 유의미한 모색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eing disqualified is the source of anxiety that causes us to toss and turn throughout shallow sleep and push ourselves into exhaustion. This is because "meritocracy" claims to be the "verbal order" of the times. Competencyism is the promise to a given society in which status or power is given according to an individual's abilities. However, factors in which one may be incompetent, such as parental class background, inheritance of wealth, inheritance of privileges, excellent education, social capital, historical and background situations, etc., lead to gaps between careers and incomes. Competencyism is only a veil that obscures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Being disqualified must be considered as a language of philosophical and political reasons. Lim Sol-ah's literature, which presents "disqualification" as a strategy to live by, not just elimination from competition, is new and powerful. When the most helpless story possible is claimed to be a powerful force to change the world, the narrative of ‘disqualification’ as shown by Lim Sol-ah could be a meaningful navigate a way through the era of hatred and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