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 처치와 약물처방으로 자칫 표백 될 수 있는 고통의 의미를 성찰함으로써, 죽어가는 사람의 인간다움을 나타낼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는 데 있다. 죽어가는 사람의 고통이 언어-표상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면 그 치유도 역시 언어-표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임종 시에 고통이 감소되고 화해와 용서, 사랑을 전하고 또 사랑을 안고 떠날 수 있기 위해서는 자신의 고통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적합한 언어로 표현하고 상징화’할 수 있는 의미화가 반드시 작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합리적 이해와 적합한 언어 표상’의 요체인 의미화에서 고통의 의미화(언어-표상)를 탐색하고자 한다. 의미화(언어-표상)의 이론적 기반은 후설의 ‘의식의 재구성’과 ‘시간의 종합화’, 프로이트의 ‘사후성’에 두고 있다. 이 두 이론의 근간은 언어를 사용하는 모든 인간의 심적 기제는 언제나 두 개의 이미지(이항기표)로 작동되며, 그 구조는 ‘시간 의식의 재구성(과거-현재-미래)’과 ‘사후적 종합화’에 있다. 따라서 언어표상으로 작동되는 심적 기제는, 신체물리적인 치료로부터 의미-의지적 가치를 지향함으로써 인간다움의 실존성을 회복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될 때, 죽어가는 사람은 자신의 고통을 적합한 언어표상으로 명시화 되어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통은 인간다움의 다른 이름인 화해와 용서로 이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is that can express the humanity of the dying person by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suffering that can be subsided by medical treatment and drug prescription. If the suffering is derived from a verbal-representational cause, the healing must also be resolved by the verbal-representational cause. In order to reduce suffering at the time of death and to deliver reconciliation, forgiveness, and love, and to leave with love, the meaning-making process that they can ‘reasonably understand, express and symbolize their suffering in an appropriate language’ must be activated. Therefore, we intend to explore the language-representation of suffering in the meaning-making process for ‘rational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word representation’. The theoretical basis of meaning-making (language-representation) is Husserl’s ‘reconstruction of consciousness’ and ‘synthesis of time’, and Freud’s ‘Nachträglichkeit’. The basis of these two theories is that all human mental mechanisms using language are always operated with two images (binary signifiers), and the structure is ‘reconstruction of temporal consciousness (past-present-future)’ and ‘integration deferred memory-trac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over the existentiality of humanity by shifting from body-physical treatment to meaning-volitional value orientation. When this happens, the dying person can reduce suffering by articulating his or her suffering with appropriate verbal representations. In the end, suffering leads to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which are other names for religiosity and spirit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