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종교 철학적인 영화의 세계관 속에 깃들어 있는 생명에 대한 각종 의제 (議題) 중 자유의지와 책임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핵심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자유와 책임, 존재와 허무 등 종교철학에서 말하는 신앙위기 (信仰危機)에 관한 갈등 문제가 종교영화 속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현대 서양 철학 중 실존주의에 관한 장 폴 사르트르의 ‘자유의지의 존재로 인한 주체성 이념’과 비교되는, 계몽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선의 지에 기원한 도덕적인 자율성’에 대한 이론 및 니시타니 게이지의 생명 본질에 대한 ‘자각성’개념을 토대로 영화를 분석한다. 또한 그중에 지닌 개인의 관점과 더불어 자연의 관점에서 자유의지관한 문제는 중국 도가(道家) 철학자 장자 (莊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대한 사상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보완한다. 폴란드 영화 <데칼로그 8편 : 어느 과거에 관한 이야기>를 사례로 하여 논문의 중심 논제 (論題)인 자유의지와 책임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진정한 자유의지는 양심의 추구를 바탕으로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chose one of various agenda for life in a philosophical film world view and explored the core of dialectical relation between free will and responsibility. Freedom and responsibility, Existential and inferiority, etc, The conflict of humanity on the crisis of faith have been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discussions of East Asian religious philosophy and Western Philosophy. Including compare the thre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ith Jean Paul Santre’s ‘subjectivity ideology due to the existence of free will’ on existentialism in contemporary Western philosophy and The theory of the ‘moral autonomy originating in the good will’ of the Enlightenment philosopher Immanuel Kant and Concept of ‘consciousness’ of the life essence of Keiji Nishitani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lm. In addition, the problem of free will in the viewpoint of nature, along with the individual’s point of view, is comprehensively supplemented by the idea of the “nothingness” of the philosopher Zhuang Zhou. A selection of the Polish film Dekalog: Eight and make a basic conclusion of the final by argumentation and analysis as a case of dialectical relation between the free will and respon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