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북지역의 노인 돌봄 사회적경제 시설의 조직문화와 일자리 질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의 맥락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연구를 활용하였으며, 다음의 세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경북지역 노인 돌봄 종사자들이 경험한 사회적경제 시설의 조직문화는 어떠한가. 둘째, 경북 노인 돌봄 사회적경제 시설 종사자의 일자리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결과, 노인 돌봄 사회적경제 시설의 조직문화는 사회적경제라는 정체성과 일자리를 지향하는 조직 목표 하에 ‘수평’적이고‘민주’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종사자들 내 구성된 하부 문화로 ‘자치’와 ‘자율’문화를 제시할 수 있었다. 상기의 조직문화를 토대로 도출된 일자리 경험은 사회적경제라는 정체성과 규범에 의한 비강제적ㆍ비공식적인 불문율들이 조직 내 형성되었고, 이 비공식적 요소들은 돌봄종사자의 일자리 질(작업환경, 임금체계, 안전성, 고용안정성, 일과가정 양립 등)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더불어 사회적경제 시설의 민주적 운영방식이 수평적 리더십, 참여적 의사결정, 종사자의 자율성 그리고 자치를 지지하므로, 돌봄종사자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근무 환경을 조직화하고 조정하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이 조직문화들은 리더십과 교육을 통해 구성원들이 함께 일하는 방식이자조직 문화로 내재화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경제 시설의 조직문화와 운영을 위한 조직의 규모화와 공공성 추구 강화, 돌봄 서비스의 보상체계 개선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quality of social economy facilities for the Long-term care in Gyeongsangbuk-do.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ocial economy facilities experienced by Long-term care workers in Gyeongsangbuk-do? 2) What is the job experience of those who care for the elderly in Gyeongsangbuk-do’s social economy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ocial economic facilities caring for the elderly can be presented as 'job-oriented' and a 'democratic operation'. In the job experience determined from such organizational culture is that non-compulsory and informal, unwritten rules based on the social economy identity and norms are formed w ithin the organization. It is possible that these informal factors acted as factors to increase the job quality(work environment, wage system, occupational safety, employment stability, work-family balance, etc.) of care workers. As the democratic management method of social economy facilities supports horizontal leadership,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and workers' autonomy and self-autonomy,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care workers to organize and adjust to their own working environment. These organizational cultures have internalized the members as a subculture and the way members work together. As such, to ensure that this organizational culture of job-creating, social economy facilities for workers is sustainable, it is suggest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strengthen the pursuit of publicity, and improve the compensation system for care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