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천전리 각석에 새겨진 암각화와 명문은 이 바위가 오랜 기간 많은 이들에게 특별한 곳이었음을 알게 한다. 빠르면 신석기시대 후기부터 사람들이 찾았던 이 바위는 신령스러운 존재, 곧 신이 머무는 곳이었고, 사람과 신의 교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한가운데 있었다. 깊은 골짝의 개울 옆에 서 있는 특별히 크고 편평하며 앞으로 약간 숙인 이 바위를 찾은 이들은 둘레에 신비한 기운이 흐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천전리 각석과 그 주변은 신성 공간이라는 관념이 적용될 수 있는 곳이어서 선사시대부터 끊임없이 사람들의 방문을 받았다. 사냥꾼 사회 사람들은 그들의 사냥이 성공하기를 빌며 바위에 점 쪼기 동물문을 남겼고, 농사꾼 사회를 꾸리던 이들은 그들의 한 해 농사가 풍작으로 끝나기를 간절히 바라며 깊게 갈아 새긴 선 쪼기 기하문을 바위에 새겼다. 역사시대에도 천전리 각석과 그 둘레는 신성한 공간으로 여겨졌다. 이 바위를 찾은 사람들은 가는 선 그림으로 그들의 방문을 알렸고, 漢字로 이름을 새겨 바위에 머문 신이 그들을 기억하기를 바랐다. 신라 법흥왕의 동생 사부지갈문왕 일행도 이 신성 공간 안에 들어오기 위해 신라 왕경의 끄트머리에 있는 오랜 골짝을 찾았다. 사부지갈문왕 일행이 천전리 각석에 남긴 원명, 뒤이어 사부지갈문왕의 아들 심맥부지와 어머니 지몰시혜비 일행이 다시 이곳을 찾아 새긴 추명은 신라 왕경 사람들이 이 신성 공간을 다시 인식하고 찾는 계기가 되었다. 한동안 천전리 각석은 신라 왕가 사람들과 왕경의 귀족이 자주 찾는 신성한 곳이 되었다. 이곳을 찾은 신분 높은 이들은 저들의 이름을 바위에 새겨 그들이 다녀갔음을 기억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법흥왕의 주도로 불교가 공인되고, 사부지갈문왕의 아들 심맥부지가 진흥왕으로 즉위하여 불교 전파에 앞장서면서 천전리 각석을 찾는 왕경 귀족들의 발길은 뜸해지기 시작했다. 불교사원이 새로운 신성 공간으로 인식되고, 불교 승려들이 전통신앙의 사제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천전리 각석에 부여되었던 신라 왕가와 귀족들의 신성 공간으로서의 위상도 점차 약해졌다. 신라 왕가 사람들과 귀족들의 발길은 뜸해졌지만, 신성 공간으로서의 천전리 각석의 기능과 역할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통일신라시대 후기에도 도시 중심, 귀족 중심 불교는 신앙 전파의 대상으로 일반 백성을 소외시키고 있었다. 이런 까닭에 귀족들이 거의 찾지 않게 된 뒤, 평범한 사람들은 민간신앙의 대상으로 천전리 각석을 부지런히 찾았다. 이들에게 천전리 각석은 왕가 사람들과 귀족들도 찾았던 의미 있는 곳이었고, 여기에서 신에게 기도하면 아기를 가진다든가, 굶지 않고 지낼 수 있게 신이 돕는 신령스러운 장소였다. 특별히 왕가 사람들이 남긴 원명과 추명의 위나 둘레에 선을 긋고, 한자로 된 명문을 새기면 기도의 효험이 더한다고 여겼으므로 이 긴 명문 둘레는 수없이 덧대어 그은 선과 단자, 단구로 가득하게 되었다.


The petroglyphs and the texts that adorn the Cheonjeon-ri Gakseok Petroglyphs suggest that the rock had a great significance to many people across a long time. As early as the late Neolithic Period, people sought the rock as the place where a holy being or a god resided. The rock was the center of a ground where humans communicated with gods. People visiting the large, flat, forward-leaning rock that stands by a creek deep in the valley would have gotten an impression that a special energy surrounded the area. The Cheonjeon-ri Gakseok and the surrounding area is what could be called a hallowed ground and many visited since the prehistoric times. The people of a hunting society left the stippled carvings of animals on the rock while those of a farming society left geometric line engravings, hoping that the year’s harvest would be abundant. Even during the historical time, the Cheonjeon-ri Gakseok and the surrounding area was treated as a holy ground. The visitors to the rock recorded their visits in fine engravings, leaving their names in Chinese characters, hoping that the rock and the gods that resided within would remember them. Sabujigalmunwang, the younger brother of Silla’s King Beopheung, also visited this old valley at the outskirts of the capital’s Saryangbu to enter the hallowed ground with his grou. The text wonmyeong left by Sabujigalmunwang and his group as well as the chumyeong left by his son, Simmaekbuji and his wife Lady Jimolsihye became a turning point for the Silla people to recognize and visit the holy ground again. For a while, Cheonjeon-ri Gakseok became known as a holy place where Silla’s royals and nobles from the capital frequented. The nobles from the capital that came by the place left carvings of their names on the rock so that their visit would be remembered. However, when King Beopheung established Buddhism as the official religion of the state and Simmaekbuji, Sabujigalmunwang’s son ascended the throne as King Jinheung to actively evangelize Buddhism, the number of nobles visiting the Cheonjeon-ri Gakseok began to decrease. Buddhist temples became the new hallowed grounds and the monks took on the position formerly held by the shamans. Cheonjeon-ri Gakseok Petroglyphs’ place as the holy ground for the royals and the nobles of Silla began to be diminished. Though royals, nobles, monks, and hwarang no longer frequented the place, Cheonjeon-ri Gakseok Petroglyphs’ role and function as a hallowed ground did not disappear completely. Even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Buddhism that skewed toward the city dwellers and the nobles ended up leaving out commoners. As a result, regular folks continued to visit the place as a place of traditional worship. To them, Cheonjeon-ri Gakseok Petroglyphs was a meaningful place visited by the royals and the nobles. The hallowed ground might grant them a grace from the gods to have a new baby or procure enough food. Because people believed that adding a line on or around the texts left by the royals or engrave a short text would make the prayer more potent, numerous lines or short texts came to surround the older 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