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교사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영아반 보육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영아 놀이지원 경험 및 어려움에 대해개별면담을 실시하고, 더불어 교실참관 및 교사토의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영아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보육교사 지원 방안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영아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영아의 놀이에 대한 확신 부족’, ‘놀이존중과 행동제재의 갈등’, ‘영아의 놀이지원과 놀이 방해’, ‘진행되는 주제와 놀이’로 범주화되었다. 놀이중심 보육과정운영을 위한 보육교사 지원 방안으로는 ‘교사의 놀이지원에 대한 확인’, ‘실제적인 도움 제공’, ‘동료와 함께 할 수 있는 기회’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놀면서 스스로 성장하는영아의 유능함과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점검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사례중심의 교사토의와 코칭 지원이 요구되는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support for infants and teacher support measures. For this purpose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childcare teachers in the infant class about their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infant play; hence, and classroom observations and teacher discussion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dividing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play support for infants and childcare teacher suppor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infant play support were categorized into ‘lack of confidence in infant play’, ‘conflict between respect for play and behavioral restraints’, ‘supporting and interfering with infant’s play’, and ‘progressive themes and play’. As measures to support childcare teachers for the operation of the play-centered childcare curriculum, it can be suggested that ‘confirmation of teacher’s support for play’, ‘providing practical help’, and ‘having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with colleagues’ would be benefic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about the competence of infants who grow on their own while playing and play support for infants. Furthermore, more specific case-oriented teacher discussions and coaching support are required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childcar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