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말레이시아 거주 난민 아동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 난민학교는 난민 아동들에게 어떠한 역할과 의미가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말레이시아 거주 난민아동이 다니고 있는 난민학교 관계자와 교사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6월부터 2021년 8월까지 면담과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Giorgi(2004)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에 근거해 자료를 분석ㆍ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난민 아동들에게 학교는 보호받으며 안식할 수 있는 ‘쉼터’ 였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은 사회적 약자들에게 더욱더 위험으로 다가왔다. 난민 아동들은 학교에서 배부른 한 끼를 먹을 수 있었고, 교사들의 돌봄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난민아동은 휴식처와 같은 학교 공간에서 안전함을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난민 아동들에게 학교는 나와 우리의 존재를 알아가는 ‘배움터’였다. 난민 아동들은 말레이시아에서 무국적자이며, 개인이 아닌 ‘난민’으로 불리는 집단, 가정에서도 소외받는 존재이지만 학교에서 ‘나’라는정체성을 느끼고, 또래 존재와 함께 놀기를 하며 일상생활을 했다. 또한, 난민 아동들은 자신을 위해 사랑과 헌신 하는 교사들을 통해 배움이 지속되었다. 마지막으로 난민 아동들에게학교는 배움을 통한 새로운 희망과 목표를 찾아가는 ‘꿈터’였다. 난민 아동은 배움을 통해 미래의 ‘나’ 꿈꾸기, 의미있는 삶 꿈꾸기, 해외로 나가는 꿈꾸기를 하며 현재 자신의 삶을 극복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ole and the meaning of refugee school for the refugee children in Malays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officials and teachers of refugee school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2020 to August 2021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y phenomenology perspective of Giorgi(2004). In this research, I will point out three aspects of refugee schools in Malaysia. First of all, refugee schools in Malaysia are functioning as a ‘shelter’ for refugee children, where they can be protected from the dangers of the world. In particular, the Covid 19 caused significant crisis for survival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Refugee children could take chances of having comfort meals and a feeling of care and security in the school. Secondly, For refugee children, school was a ‘learning place’ to get to find peers, teachers and self. The refugee children could find their self-identities in the refugee school. Even though their presence are neglected and outcasted in the society due to their unstable nationality, they could be fully welcomed and accepted by teachers and peers in the school. Thirdly, for refugee children, school was a ‘dream place’ where they could find new hopes and goals through learning. The refugee children could be empowered to overcome their harsh reality by learning at the school, because learning meant dreaming of their better future for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