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시간을 직접적으로 지각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영화에서 시간은 디제스의 구성이나 등장인물의 변화 또는 공간의 변화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해되고 접근되었다. 그러나 영화를 서술체 자체가 아니라 서술체의 담화적 차원, 즉 서술행위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시간에 대하여도 다시 주목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서술행위와 시간이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토도로프에이어 주네트는 서술체에서 시간의 문제를 세분화하고 체계화하여 이해의폭을 넓혔고, 고드로와 조스트는 주네트의 업적을 영화에 접목시켜, 영화에서 시간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잘 보여 주었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서 영화에서 장면, 요약, 생략, 휴지의 개념을 검토하고, 이를 영화작품에 직접 적용시켜 봄으로써 디제스의 시간과 상영의시간 차이에서 발생하는 리듬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서술체의 시간문제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는 영화의 서술성을 해체하고 순수이미지가 드러나는 영화를 통해 시간을 사유하고자 했던 들뢰즈의 영화미학을 보다 더 세밀하게 이해하는 지평을 열었다.


In the film, time was indirectly grasped and approach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diegesis, the change of characters, or the change of space, as it is difficult to perceive time directly. However, as we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discursive dimension of the film's storytelling, it became more time-centric. The reason is that narrative action and time are closely related. Following Todorov, Genette widened the field of understanding by subdividing and systematizing the problem of time in the narrative. Gaudreault and Jost incorporated Genette's work into the film, demonstrating how time is managed in the film. Through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concepts of scene, summary, ellipsis and pause in films, and examined the effect of rhythm which occur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the diegesis and the projection. From this understanding of the cinematic narrative's time problem, we opened up the horizon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he cinematic aesthetic of Deleuze, who attempted to reflect time in cinema that reveals a pure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