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류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공동체를 구성하고 운영한다. 그 중에서 혈연공동체는 고향이라는 물리적, 정신적 토대를 바탕으로 강한 연대를 이룬다. 일제 강점기는 혈연공동체가 해체되었던 고통스러운 경험의 시간이었다. 이용악은 시를 통해 당시의 고통을 현재적인 시점에서 형상화했다. 특히, 고향을 버리고 낯선 땅으로 떠나야 했던 유·이민의 삶을 주목했다. 1930년대는 일제 강점기 중에서 3기인 ‘병참화시기’에 해당환다. 만주사변과, 만주국 건국과 중일전쟁,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으로 확전되던 시기이다. 더불어, 조선 민중의 삶은 더욱 피폐해져갔다. 수차례의 농업공황과 악랄해지는 수탈정책으로 고향을 버리고 야반조두를 하거나 만주로 딸을 팔아넘기는 농민들이 생겼다. 이용악의 「강가」, 「낡은집」, 「전라도 가시내」 등은 그러한 현실을 서정적으로 잘 그려낸 시들이다. 이 글은 이용악의 시들 중에서 특히, 공동체가 어떻게 해체되어갔는지, 그리고 고향을 떠난 사람들이 타지에서 어떤 고통을 받았는지 주목한 시들을 살폈다. 더불어 이용악의 문학적 지향과 그 문학이 성취한 문학사적 의의를 다루었다.


Human organizes and operates communities for various purposes. Especially, blood-related community forms strong solidarity based on their hometown by the physical and spiritual sense of unit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time of painful experience when blood-related communities were disbanded. Through poetry, Lee Yong-ak embodied the pain of that time by a present point of view. In particular, he paid attention to the lives of migrants and immigrants, who had to leave their hometown and go to an unfamiliar land. The 1930s corresponded to the third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is is the so-called 'chronicization period'. It was a period of escalation with the Manchurian Incident, the founding of Manchukuo, the Sino-Japanese War, and World War II. At the same time, the lives of the people of Joseon became even more devastating. Due to several agricultural panics and vicious expropriation policies, some peasants abandoned their hometowns and sell their daughters to Manchuria. Lee Yong-ak's 'Riverside', 'Old House', and 'Girl from Jeolla-do' are poems that lyrically depict such a reality. This article write about Lee Yong-ak's poems, in particular, focusing on how the community was dismantled and how the people who left their homeland suffered in other countries. In addition, This article dealt with the literary orientation of Yong-ak Lee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litera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