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조선조 유학자들의 서예인식을 특히 ‘서예書藝’라는 용어를 ‘마음의 그림[心畵]’이라고 이해한 것에 초점을 맞추어 논한 것이다. ‘예藝’라는 글자가 갖는 기예적 의미를 고려하면 ‘서예’란 ‘문자를 운용하여 창작에 임할 때 요구되는 기예’라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기예적 측면에서 본다면 ‘서법書法’과 상당히 유사한 점이 있다. 그런데 조선조 이황李滉이 사용한 ‘서예’라는 용어는 ‘서예의 예술성’이란 의미로 사용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조선조 유학자들이 서예를 말할 때 주로 ‘서법’이란 말을 사용하지만, ‘서예’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글씨를 쓰는 것을 통해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 ‘심화’ 차원으로 이해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서예를 심화 차원으로 이해하면 조선조 유학자들이 글자를 쓰는 것을 통해 서예의 예술성과 미학사상을 토로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을 본고에서는 먼저 ‘심화心畵’로 이해한 사유에 담긴 서예인식을 통해 규명하고, 다음 ‘서예’라는 용어 사용에 따른 서예 인식을 통해 규명한다. 이런 규명을 통해 조선조 유학자들이 서예라는 용어를 통해 자신이 지향하는 철학과 학식은 물론 예술적 감성을 표현하고자 한 것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조선조 유학자들이 서예라는 용어를 사용했을 때에는 기교 이외에 심화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사유를 철학 차원에서 말하면, 구체적으로 드러난 소연所然의 세계로서의 형상, 운치, 맛보다는 행간에 숨어 있는 보다 근원적인 의미를 지닌 형상, 운치, 맛과 관련된 ‘소이연所以然의 이치 혹은 원리’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것이다. 특히 이황李滉이 여가에 행했던 차원의 ‘서예’란 용어는 말 그대로 ‘문자를 통해 예술성을 표현한 서예’라는 말로 이해해도 전혀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calligraphy perceptions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rm calligraphy as ‘picture of the heart’ or ‘the expression of the thought.’ If you look at calligraphy literally, it means ‘the skill required when working on creation by operating letters.’ In this regard, in terms of craftsmanship, there is a significant similarity to handwriting calligraphy.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the term calligraphy used by Lee Hwang of the Joseon Dynasty was used to mean ‘the artistry of calligraphy.’ In this regard,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mainly use the word narrative when speaking calligraphy, but when using the term calligraphy, it can be seen that they understood it as a picture of the heart that expresses their mind through writing. In other words, if you understand calligraphy in terms of the picture of the heart, you can see that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expressed the artistry and aesthetic ideas of calligraphy through writing letters. In this study, this point was first investigated through calligraphy recognition contained in the reason for understanding it as the ‘picture of the heart’, and then through calligraphy recognition based on the use of the term calligraphy.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tried to express their philosophy, learning, and artistic sensibility through the term calligraphy. First, when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used the term calligraph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picture of the heart’ was contained in addition to techniques. To put this reason in terms of philosophy, rather than pursuing a phenomenally revealed shape, atmosphere, and taste, i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reason’ or principle that allows a more fundamental meaning hidden between letters.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term ‘calligraphy’ in the dimension that Yi Hwang practiced in leisure is literally ‘calligraphy that expresses artistry through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