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전시 학살에 대한 기억이 다른 남북이 통일 이후 과거청산을 하는 데에 있어 지향해야 하는 바를 논의하는 데에 있다. 먼저 이 글이 문제 삼는 것은 가해자를 밝혀내는 데에만 집중하면서 생존피해자의 증언을 사법적이고 실증주의적으로 다루는 듣기의 방식이다. 가해자를 규명하는 것은 과거청산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렇지만 국내외의 사례에서 보듯이 '가해자 가려내기'에 과도하게 집중하여 증언을 듣는 순간, 생존피해자가 '고백'하는 고통의 소리에 둔감하게 만든다는 한계를 낳는다. 그런 이유로 이 글은 1950년 북에서 자행되었던 신천학살사건을 하나의 사례로 살펴보면서 생존피해자가 중심부에서 배제되지 않는 증인과 청중 간의 정동적 관계맺음을 ‘듣기의 윤리’로 제시한다. 또 그러한 윤리에 기초할 때 비로소 생존피해자의 비언어적인 ‘발화’(고통의 고백)에 청중이 실천적으로 ‘응답’하는 앙가주망이 가능해질 수 있음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증인과 청중 간의 발화-응답의 관계 맺음이 문화적 구속으로서 ‘집단기억’을 형성하는 데에 바탕이 될 때 남북의 이데올로기적 입장에 휘둘리지 않으면서, 생존피해자의 회복과 피해로서의 권리 보장을 위한 사회적 지지를 확대·강화할 수 있는 정치문화의 형성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what the two Koreas should commonly pursue in liquidating the past after reunification. In particular, what this article takes issue with is a listening method that deals with the testimony of the surviving victim judicial and positivist while focusing only on identifying the perpetrator. Identifying the perpetrator is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for past liquidation. However, as seen in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e moment you listen to testimony by focusing excessively on "screening out perpetrators," it creates a limitation that it insensitivity to the sound of pain in which surviving victims "confess."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examines the Sincheon Massacre in North Korea in 1950 as an example and presents the establishment of an a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witnesses and audiences whose surviving victims are not excluded from the center as “the ethics of listening”. In addition, it is discussed that only based on such ethics can a "response" to the non-verbal "speech"(confession of pain) of surviving victims become possible. Finally, this article argues that when such an utterance-response relationship is based on forming a "collective memory" as a cultural restraint, social support for the recovery of surviving victims and guaranteeing their rights as damage can be expanded and strength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