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교구산(五敎九山)은 포광 김영수 이래 고려시대 불교를 이해하는 하나의 틀이었다. 선종 구산문의 성립은 신라하대 수용된 선종이 나말여초 사회변동 속에서 각 지역에 자리를 잡는 과정이자 결과였고, 고려불교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과도 같은 사건이었다. 김영수가 고려선종사를 구산문으로 설명한 이래, 교과서는 물론이고 여러 개설서에서 나말여초 불교의 변화 및 고려 선종을 구산선문[선문구산]으로 설명해 왔다. 『고려사』나 금석문 등 당대 사료에 구산이라는 용어는 여러 차례 나오지만, 이것이 아홉개의 개별산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던 사례는 찾기 어렵다. 1084년(선종 1) 구산 문도들도 3년에 한번씩 승과를 볼 수 있게 했다는 『고려사』의 기록이 현재까지 확인되는 “구산문”에 대한 가장 오랜 것이며, 현재 알려진 아홉 개의 산문과 그 개산조는 『선문조사예참의문(禪門祖師禮懺儀文)』에 처음 정리되어 있다. 구산은 승과시행과 불교교단 정비로 대표되는 고려전기 승정 확립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의천의 천태종 개창으로 인한 선종계의 변화를 반영하듯 고려중기 이후 “조계종”이라는 말과 함께 사용되면서 사굴산문, 가지산문, 성주산문 등 산문의식을 드러내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도 주목된다. 또한 고려후기 자료에서의 구산은 아홉개의 개별산문이 아니라 당시 선종 전체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도 특징이어서 구산은 나말여초 성립된 여러 산문들이 고려시대 겪었던 변화와 승정을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고려적인 요소로 볼 수 있으며, 승정이라는 측면에서 승과와 관련된 “구산선(九山選)”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구산선문은 실제 아홉 개의 산문이 고려시대 내내 모두 존속했느냐의 여부보다 고려시대 선종교단의 존재양태를 이해하는데 유의미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Five Teachings and Nine Seon Schools(五敎九山) i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Buddhism during the Goryo period, as Kim Yougsu(金映遂) put it into concept in 1920’s. Nine Seon Schools were established in the process by which Seon Buddhism accepted from Tang China by Shilla Seon monks was established in the Late-Shilla and Early Goryo Society. It meant a symbolic event to mark a departure of Korean Seon Buddhism. Many books and papres explained on Korean Buddhism as Nine Seon Schools meant the number actual 9. There are also Nine Moutains(九山, the same concept witn Nine Seon Schools) in the History of Goryo(高麗史, Goryosa), stele and colleciton of literary works of Goryo period. However it does not mean the actual numer. The earlist record on names of actual Nine Seon schools and the founder of each school was Sunmunjosayecham-uimun(禪門祖師禮懺儀文, the Ritual Book for the Zen and Seon Masters). The book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Mid-Goryo Period. The term “Nine Mountails(九山)” was also used as a concept to represent the entire Seon(JoGye) School at the time. The term of “Nine Seon Schools”, i.e. “Nine Mountains” should be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Buddhist policy(僧政) in terms related to Seungkwa(僧科, State examination for Buddhist Mo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