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Karl Barth is perhaps most clearly differentiated from Friedrich Schleiermacher when the two are compared in the context of their unphilosophical vs. philosophical soteriology. They each seek to answer the core question, ‘How can we be saved?’ but in radically different ways. Schleiermacher’s answer is plainly philosophical. He argues that redemption is a ‘sense and taste for the Infinite’ where redemption takes place in the coincidence of opposites (coincidentia oppositorum) when the Infinite (the Whole) and the finite (the individual) participate in Christ’s perfect God-consciousness. Romantic rhetoric, i.e., the ‘feeling of absolute dependence,’ also enters into this Neoplatonic-panentheistic construct when the individual relates to God as a redemptive contact. Thus Schleiermacher’s soteriology is romantic, Neoplatonic and subjectively Christocentric, and is thus philosophized. On the other hand, Barth is decidedly unphilosophical. He seeks to erase all philosophical tenets from his theology, in particular rooting it out of his entire soteriological structure in the process. For Barth, redemption is not Schleiermacher’s fulfillment of the coincidentia oppositorum where God is ‘the whole’. God is instead the ‘Wholly Other’; it is Immanuel who fulfills the covenant and reconciles God and human beings. Barth holds that redemption is grounded objectively ‘in Christ by Christ,’ not in romantic rhetoric or existential or subjective experience. The whole redemptive process is concentrated in Christ the electing God and the elected or rejected man, not in romanticized philosophy. Barth’s soteriology is objectively Christocentric and thus unphilosophized.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theological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ubjectively philosophized soteriology and objectively unphilosophized soteriolgy will be beneficially appeared.


본고는 철학적 구원론과 비철학적 구원론의 맥락 속에서 칼 바르트와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구원론의 차이점을 대비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바르트와 슐라이어마허는 ‘우리가 어떻게 구원에 이를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극명히 다른 대답을 내놓았다. 이 질문에 대한 슐라이어마허의 답변은 대단히 철학적이었다. 슐라이어마허에게 구원은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의식에 참여함을 통해 유한이 무한을 느끼고 맛보는 지점에서 일어나는데 이는 극단과 극단이 만나는 구원론적 일치점이다. 유한이 무한과 만나는 구원론적 일치점은 신플라톤주의-만유재신론적 구조 속에서 낭만주의적 ‘절대 의존 감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슐라이어마허의 구원론은 낭만주의적-신플라톤주의적-주관적 구원론이므로 철학적 구원론이다. 이와 반대로 바르트의 구원론은 명백히 비철학적 구원론이다. 바르트는 구원론 내에 서려 있는 철학적 요소들을 최대한 제거하려고 노력했다. 바르트의 구원론은 유한과 무한이 만나는 일치점이 아니었는데 그 이유는 바르트에게 하나님은 ‘전적 타자’였기 때문이다. 바르트의 구원론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서 벌어진 ‘그리스도를 통한, 그리스도 안에서의’ 임마누엘 그 자체였다. 이는 낭만주의적 수사도 아니며 실존적, 혹은 주관적 느낌 및 경험도 아니었다. 오히려 바르트의 구원론은 홀로 선택되고 동시에 홀로 유기되는 그리스도에게만 집중된 그리스도-중심주의 구원론이다. 그러므로 바르트의 구원론은 지나치게 객관적으로 비철학화된 구원론이다. 이런 비교 탐구를 통해 주관주의적 철학적 구원론과 객관주의적 비철학적 구원론의 신학적 장단점과 기여점을 살펴볼 수 있는 유익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