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고대일본어의 모음체계에 대한 일련의 시론의 첫 연구로 네 자료 표기 방식의 보수성의 추정과 네 자료에 나타난 イ단(갑류)음의 성모를 포함한 표기운의 비교를 다룬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기 방식의 보수성의 경우 야스마로는 오쿠라와 유사한 면이 많지만, 오쿠라가 di·ri의 표기와 止섭 이외의 운은 眞운 하나만을 사용한 것이 α군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야스마로가 더 보수적이다. β군은 서론에서 언급했던 것과 달리 야스마로나 오쿠라에 가깝지 않다. β군은 α군 표기자의 표기 방식을 상당히 수용해서 그 당시의 음의 변화를 표기하려는 하였고, di·si·Fi·mi·i·ri의 표기에서는 α군보다 더 α군적인 표기 방식이 보인다. 둘째, 표기운의 경우 야스마로와 오쿠라는 특정한 운에 편중되지 않았는데 특히 오쿠라는 한 개의 운만 사용한 것은 9음절이며 세 개의 운은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야스마로는 6개가 止섭 이외의 운을 사용하였는데 반해 오쿠라는 1개(眞운)에 불과한 점은 α군과 유사하여 오쿠라가 당에 유학을 한 경험을 어느 정도 반영한 것으로 보인 다. α군은 설음과 치음의 합운과 같이 당대북방음을 반영하고 있음과 동시에 합운이 되지 않은 후음의 i도 합운된 것으로 사용되었다. β군은 眞祭齊鍾운의 보수적인 표기 방식도 사용하였기 때문에 야스마로와 같이 아주 보수적인 표기부터 α군의 당대북방음의 반영을 어느 음절의 표기에 따라서는 더 다양하게 사용한 α군보다 더 α군적인 표기 방식까지 포함하고 있다. 셋째, 해당운의 사용 가능자의 수와 예의 수의 상관관계는 야스마로와 오쿠라는 없으나 α군과 β군은 반정도 있다. 넷째, 야스마로와 오쿠라는 음차자의 글자 선택에서 많은 종류의 자를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표기자의 선택은 상당히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일단 イ단(갑류)음의 결과에 한정되지만 모리 히로미치가 언급했던 β군의 특징은 보완되어야 할 가능성이 있다.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of a series of tentative studies on the vowel system of Old Japanese. This dealt with the estimation of the conservatism in writing in the four sources and the comparison of the notational rimes (including the initials) in the sounds of i column (excluding type B or 乙, otsu) used in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 the case of the conservatism in writing, Yasumaro has many similarities to Okura. But Okura's notation of /di·ri/ is similar to α group, and the fact that he uses only one Zhen (眞) rime except for Zhi (止) rime group is consistent with the α group. In this respect, Yasumaro is more conservative. Contrary to what was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β group is not close to Yasumaro or Okura. In the β group, the notation method of α group scribes was greatly accepted, and the change of the sound at that time was tried to be expressed. In the notation of /di·si·Fi·mi·i·ri/ for group β, a more α-group notation is seen than for group α. Second, in the case of notational rimes, Yasumaro and Okura did not focus on a specific rime. In particular, Okura used only one rime for 9 syllables, and did not use 3 rimes. Also, whereas Yasumaro used 6 rimes except for Zhi (止) rime group, Okura used only 1 (Zhen (眞) rime) which is similar to α group. This seems to reflect some of Okura's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in the Tang Dynasty. ; Group α reflected the sounds of Northern Regions in Tang Era like the merger of 3 rimes of Zhi (止) rime group in the dentals (including superadental stops) and apical sibilants (including superadental and palatal sibilants), and at the same time, used laryngeal /i/ without the merger of them as a merger. ; Because β group used a conservative notation of Zhen·Ji·Qi·Zhong rime(眞祭齊鍾), it has a very conservative notation like Yasumaro. In β group, the reflection of the sounds of Northern Regions in α group was used more diversely depending on the notation of certain syllables. Therefore β group includes a more α-group notation than α-group. Third, the correlation of the number of usable characters in the rime and the number of their examples is absent in Yasumaro and Okura, but half in the α and β groups. Fourth, despite the fact that Yasumaro and Okura did not use many kinds of characters in the selection of Ongana's(using characters for their Chinese sounds) characters, their selection of characters showed a fairly similar tendency. Fifth, although limited to the results of the sounds of i column (excluding type B),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β group mentioned by Hiromichi Mori need to be sup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