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 공공영역의 정보화는 과거보다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대민서비스를 기본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따라서 주민들과 가장 밀접한 곳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는 국가 정보화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열쇠이다. 이에,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 조직은 자치단체 정보화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논의된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조직에 대한 논의는 조직 역량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현실적 변화도 미미했다. 이는 기존 논의들과는 다른 접근방식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 조직이 무엇이며, 어떤 성격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직 정체성’ 개념을 활용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조직의 변화과정과 원인을 총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 조직은 형성 초기 확실하고 고유한 특성을 갖는 전문적 조직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조직의 역할이 차츰 축소되고 자율성을 잃었으며 수동적인 조직으로의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조직 정체성의 변화는 정권의 교체와 이에 따른 주요 정책 변화가 중앙 조직 및 제도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중앙 차원의 변화가 다시 조직의 기능적 측면의 요인들을 변화시켜 나타난 결과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 조직을 둘러싼 행위자들의 관계와 영향력, 그리고 그에 따른 파급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근 나타나고 있는 변화의 움직임을 보다 긍정적 방향으로발현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근본적 고민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를 갖는다.


Local government is an important key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informatization of the public sector, as the starting point most closely linking residents to public services. However, loc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has been stagnant despite constant academic discussion. Studies to this point have discussed loc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organizations in terms of functionalism. However, in reality, the organization is dealt with politically in a considerably value-oriented way. There are voices in the field noting the alternatives presented in the existing discussions are less realistic. This study chose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identity based on an interpretive approach because it seeks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loc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organization is and its nature. As a result, the identity of loc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organization was found to be a professional organization with clear and unique characteristics at the beginning of formation but, as time passed, the role of the organization gradually decreased, lost its autonomy, and became a passive organization. The main reason for the change to the informatization organization identity was the informatization policy changes due to regim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