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회색인』의 서사와 수사를 재고하고자 한다. 작품 속 인물들은 서사가 진행되면서 공간을 이동하며 서술어 ‘가다’를 반복하고 있다. 과거 속에서 주인공은 자아 비판의 시련을 벗어나기 위해 W시와 책 속으로 들어가고, 죽음을 피해 방공호와 그 방공호의 여인을 향해 간다. 현재의 여정은 한편으로는 군대, 하숙집, 매부 집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그려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의사(疑似) 고향인 P면을 찾아가는 것과 방공호 속의 여인을 대신하여 이유정의 방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그려진다. 표층 구조에서 인물들은 공간의 이동과 ‘가다’라는 행위를 통해 무언가를 좇으려는 모습을 보이지만 인물들의 변주만 있을 뿐 똑같은 논리를 반복하여 펼칠 뿐이다. 방랑자, 망명자, 떠돌이인 주인공은 고향, 집, 여인을 간절하게 찾아가고 싶으나 현실에서는 결코 찾아갈 수 없다. 특히 P면을 찾아가는 것과 이유정의 방으로 들어가는 것은 자아의 근원적인 것을 향한 욕망의 표출이며, 고향 찾기 모티프와 여인 찾기 모티프의 원형에 해당한다. 탐색의 불가능성은 현실 속에서 대상의 자리를 바꾸면서 대체되는 전치(轉置)의 서사 전략으로 이어진다. 작가를 대변하고 있는 주인공은 일부러 진짜 원하는 것이 아닌 대체되는 것을 선택한다. 그것들은 다른 대상으로 어긋나거나 대체될 뿐만 아니라, 스스로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 중에서 자신에 대한 자조적 냉소로 귀결된다. 출구를 찾지 못하고 갇힌 수인(囚人)은 자신의 글쓰기와 책 읽기의 상상 속에서 전도된 나르시시즘의 수사법을 펼쳐 보인다. 나르시시즘 면모 외에 진짜와 가짜, 천사와 악마, 선과 악의 경계를 흐리는 수사적 기법은 모든 대립적 관념을 깨뜨리고자 하는 주인공의 시도이다. 이항 대립을 벗어나고 자리를 바꾸어 보는 것은『회색인』의 제목이 그러하듯이 중도적 자리에서 주인공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 중의 치열한 모색이다. 이러한 모색은 이후 최인훈 문학에서 반복적으로 형상화되고 있으므로, 『회색인』은 최인훈 문학의 원형에 해당한다.


This paper tries to reconsider the narrative and rhetoric of 『Hoisaekin』. The characters in 『Hoisaekin』 move through space as a narrative develops, repeating the word ‘go’. In the past, the main character went to W city and read books to escape the ordeal of self-criticism, and entered an air-raid shelter and went towards a woman in the shelter to avoid death. In the present, he goes to the army, a boarding house, and a house of ex-boyfriend of his sister, visits P-town, a pseudo-hometown, and enters Lee, Yujeong's room in place of the woman in the shelter. In the surface structure, the characters try to pursue something with the move through space and the act of ‘going’, but they repeatedly show the same logic. The main character, a refugee, desperately wants to return to his hometown, home, and woman, but in reality he can't find them. In particular, searching for P town and entering Lee, Yujeong's room, which express his desire for the source of ego, are the prototype of the motif of finding a hometown and a woman. The impossibility of exploration leads to a narrative strategy of displacement, which replaces and changes the place of an object. The main character, who represents the author, deliberately chooses replacements rather than what he really wants. What he really wants is misplaced or replaced by other objects, and it leads to self-cynicism in the process of finding his identity. The main character, as a prisoner who is imprisoned without finding an exit, uses the rhetoric of inverted narcissism in his imagination of writing and reading books. In addition to the narcissistic rhetoric, another rhetorical technique that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the real and the false, angels and demons, good and evil is the attempt to break all opposing ideas. Getting out of binary oppositions and changing positions are intense search to find solution in the process of finding his identity in a midway position, as the title 『Hoisaekin』 implies. Since this search has been repeatedly embodied in Choi, Inhoon's later works, 『Hoisaekin』 is the prototype of Choi, Inhoon's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