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산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1차~5차년도 자료 중 중·고등학생 2,258명의 종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무조건 모형 분석으로 무변화, 일차함수, 이차함수, 분할함수 모형을 각각 적용하여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분할함수 모형을 추정하였다. 중학교 3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공동체의식은 중학교 시기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다가 고등학교 시기에는 점차 감소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한편, 초기치, 중학교 및 고등학교 시기 변화율의 분산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공동체의식의 개인차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조건 모형을 적용하였다.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인 경우와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의 초기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중학교 시기 공동체의식의 증가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 및 교사관계가 좋을수록 공동체의식 초기치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으로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청소년들의 발달 특성과 교육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 경험과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sense of community of adolescents in Busan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m. Method: Among the data from the 1st to 5th years of the BELS, 2,25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potential growth model. Results: First, by unconditionally analyzing the model, a piecewise growth model was estimated as the most suitable model by applying the no-growth, linear, quadratic, and piecewise growth models, respectively. As of the time of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he sense of commun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middle school but gradually decreased in high school. On one hand, the variance of the rate of change in the initial period,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s was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sense of community existed. Second, a conditional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i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Compared to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and the higher level of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the initial status of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the closer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higher the rate of increase in sense of community in middle school, and the better the friend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the higher the initial status of sense of community. Conclusion: As a key competency of the future society, efforts are needed to foster youth's sense of community, and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ustomized strategies are needed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yout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ystematic support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