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이민진의 『파친코』를 젠더지리학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작품의 주인공인 선주의 서사에 나타난 젠더적 도전이 지닌 정치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파친코』는 부산의 영도에서부터 시작해 일본의 오사카를 거쳐 요코하마로 이주하는 재일조선인의 삶이 펼쳐진다. 고향인 영도를 떠나 일본에서 살아가는 선자의 삶은 전통적 공간 구분의 기제인 공/사 이분법을 와해시키고 특정 장소에 고정된 기존의 젠더 질서에 도전하는 행위에 해당한다. 장소에 해당하는 부산 영도에서부터 선자는 기존의 젠더 규범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공간을 찾아 나서고, 이러한 선자의 도전은 오사카에서 더욱 본격화된다. 오사카에서 선자를 방해하는 인물은 시아주버니인 요셉과 막강한 힘을 지닌 야쿠자 고한수이다. 요셉은 ‘남성-여성’이라는 젠더 구분과 연루된 ‘공적-사적, 바깥-안, 직장-가정, 일-여가’ 등의 전통적인 장소적 이분법에 너무나 충실하다. 그렇기에 선자와 아내 경희가 새로운 공간을 개척해 나가는데 큰 장애가 된다. 고한수는 요셉과는 달리 강력한 힘으로 선자를 자연적인 존재에 머물러 있게 하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방해와 사회적 통념에 저항하며 선자는 새로운 여성의 삶과 공간의 창출을 위해 노력한다. 마지막까지 가장 강력한 힘으로 선자를 구속한 것은 바로 ‘엄마라는 굴레’, 즉 모성이다. 그러나 결국 선자는 이 모성마저 극복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것은 작품의 마지막에 선자가 오사카에 있는 이삭의 묘소를 찾은 후에, 아들과 손자 대신 경희가 기다리는 ‘집’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것을 통해 암시적으로 드러난다. 부산 영도에서 시작해 오사카를 거쳐 요코하마에 이른 선자의 여정은, 전통적 공간 구분의 기제인 공/사 이분법을 넘어 특정 장소에 고정된 기존의 젠더 질서를 초과하는 새로운 정체성의 창출에까지 이르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민진의 『파친코』는 20세기 재일조선인들의 삶을 적실하게 재현한 작품일 뿐만 아니라, 선주라는 여성 인물을 통해 젠더적 가능성을 모색한 문제작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Lee Min-jin's 'Pachinko'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geography. Through this, I tried to examine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gender challenge in the narrative of Sunja, the protagonist of the work. 'Pachinko' tells the story of the lives of Zainichi Koreans moving from Yeongdo, to Osaka, and to Yokohama. The life of a Sunja living in Japan, leaving his hometown of Yeongdo, is an act of breaking down the dichotomy of space, the traditional mechanism of spatial division, and challenging the existing gender order fixed in a specific place. From Yeongdo which corresponds to the place, Sunja breaks out of the existing gender norms and sets out to find his own space, and this challenge of Sunja becomes more serious in Osaka. In Osaka, the people who interfere with the Sunja are Joseph and the powerful Yakuza Hansu. Joseph is too faithful to the traditional spatial dichotomy of ‘public-private, outside-inside, work-home, work-leisure’, which is related to the gender division of ‘male-female’. Therefore, it is a big obstacle for Sunja and his wife Kyung-hee to pioneer a new space. Unlike Joseph, Go Han-su tries to keep Sunja in a natural existence with a powerful force. Resisting these obstacles and social stereotypes, Sunja strives to create a new life and space for women. Until the very end, it is the motherhood that has restrained Sunja with the most powerful force. However, in the end, Sunja overcame even this motherhood. It is implicitly revealed at the end of the work, after Sunja finds Isaac's grave in Osaka, and then moves her steps to the 'home' where Kyunghee awaits instead of her son and grands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ilgrim's journey from Yeongdo in Busan to Yokohama through Osaka has led to the creation of a new identity that transcends the existing gender order fixed in a specific place, going beyond the dichotomy of the traditional spatial di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