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산 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독자 집단에 따른 독서량과 상위인지 간 종단적 효과를 분석하여 책맹 문제의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 독자의 독서 실태에 대한 정의적 변인을 중심으로 한 여러 논의가 있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변인의 종단적 효과를 규명하여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2 패널의 2018년(중3)~2020년(고2)도 일반고 학생 응답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층모형과 잠재성장 모형을 활용하여 종단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독자 집단의 초기 상위인지에 비해 독자 집단의 상위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위인지가 독서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독서량의 변화율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자 집단별 상위인지의 변화율이 비독자 집단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독자 집단에서는 변화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독자 집단과 독자 집단의 독서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비독자 집단의 독서량 변화율이 독자 집단의 독서량 변화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후 학교 현장의 평가 정책과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측면에서 대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lternatives to the problem of blindness by analyzing the longitudinal effects between the reading quantities and meta cognitiv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reader group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rea of Korea.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focusing on the affective variables of adolescent readers’ reading conditions, this study sought practical alternatives by identifying the longitudinal effects of cognitive variables. In this study, the longitudinal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multi level model and the latent growth model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 response data from 2018(middle school third year) to 2020 (high school second year) of the P2 panel.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cognition of the non-aliteracy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itial cognition of the aliteracy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while the initial status of meta cogn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status of reading quantity, i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of reading quantity. Third, the rate of change of meta cognition by reader group was significant in the aliteracy group, and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in the non-aliteracy group. Fourth,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eading quantity between the aliteracy group and the non-aliteracy group, the change rate in reading quantity of the aliterac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aliteracy group. After that, alternativ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chool site assessment policies and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