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기반하여 국어과 교사교육의 목표를 탐색하였다. 교사교육 목표로서 예비교사의 태도 변용은 새로운 태도의 형성, 기존 태도의 강화, 기존 태도의 변화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Ajzen(1991)의 계획된 행동 이론에 따라 교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통제감)에 주목하면 국어과 교사교육의 목표는 ‘① 국어교육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신념과 가치관을 형성한다., ② 국어교육 공동체의 규범과 관습을 이해하고 수용한다., ③ 국어교육 활동의 직·간접적 경험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을 실천하고 성찰한다.’와 같이 구체화해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세 가지 목표는 첫째, 객관적 사실로서의 지식을 넘어선 신념(기대)과 평가(가치)로까지 교육 내용의 확장을 주장한다는 점, 둘째, 교사 개인의 역량을 개발하는 데 머물지 않고 교사 행동을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으로 (재)개념화한다는 점, 셋째, 주로 수업을 중심으로 한 의식적, 통제적 상황과 직접 시연(실천)에 국한되지 않고 직관적, 반사적 상황과 간접 경험(성찰)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국어교육 및 교사교육 담론과 변별성을 지닌다.


This study explores the objectives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rts based on communication theories. The attitude changes, which are the goals of communication, are divided into: formation of new attitude, reinforcement of previous attitude, and change of previous attitude. O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ccording to Ajzen’s (1991)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he objectives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rts we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First, acquiring knowledge and forming beliefs and values. Second, identifying and accepting the norms and conventions of the community. Third, practicing and reflect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SRL). These three objectives differ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they extend to the beliefs and values (beyond factual knowledge), (re)conceptualize teachers’ behavior as social interaction activity (beyond individual capabilities), and take into account intuitive, automatic situations (rather than conscious, controlled situations), and reflections on indirect experiences (rather than the practice of direct i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