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국어사와 고전문학이 상호 교류와 협력의 과정을 통해 우리말과 우리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더불어 보다 섬세한 문학적 해석을 ‘함께’ 추구함으로써 국어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국어사와 고전문학은 ‘옛말’이라는 안료와 ‘전근대’라는 캔버스를 함께 사용하고 있지만 서로 간의 소통과 교류, 이를 바탕으로 한 두 분야의 협력은 적어도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실천의 정황들을 보여 주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옛말의 표기와 문법을 이해하는 일이 우리의 고전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데에 얼마만큼 긴요한지와 같은 원론적인 문제에서부터 옛말에 대한 이해의 증진을 통해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효과적인 감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에 이르기까지 두루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어교육의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국어사와 고전문학 연구의 차원에서도 서로가 가진 정보를 충분히 공유하고 논의하는 과정은 각자의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줌으로써 새로운 차원으로 발돋움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본고가 이러한 발돋움을 시작하는 의미 있는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belief that Korean language history and classical literature can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education by promoting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Korean words and texts and by pursuing more delicate literary interpretations through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Although Korean language history and classical literature share the paint of “archaic words” and the canvas of “pre-modern times,” there are no concrete practices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m, and there has been no collaboration based on their commonalities. The present study aimed at an extensive examination of this issue, from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orthography and grammar of archaic words for an understanding of classical literary works, to specific methods to promote the effective appreciation of classical literary works through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archaic words. The process of sharing and discussing such information will allow each subject’ to complement the other’s lacunae, and offers a chance atto reaching a new dimension regarding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classical literature, as well as improving Korean education.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a meaningful starting point forof this journ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