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가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병렬다중매개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인천,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52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 3.5.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는 회복탄력성의 2개 하위요인, 즉 개인적 특성인 내적요인과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 외적보호요인에 대해 각각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회복탄력성의 2개 하위요인은 문제해결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의 2개 하위요인은 각각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가 문제해결력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고, 매개효과의 크기 차이는 유의하며 내적요인의 매개효과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은 비판적 사고와 더불어 보육교사의 문제해결력을 촉진하게 되므로, 보육현장과 보육교사 양성기관에서는 보육교사를 위한 비판적 사고교육과 함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경주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ritical thinking of childcare teachers up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with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520 childcare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2.0 and PROCESS macro 3.5.3. The result of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critical thinking of childcare teachers has statically meaningful influence upon the two sub-factors of resilience, that is, on the inner factor lik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on the outer factor that protects or strengthens resilience. Both the critical thinking of childcare teacher and the two sub-factors of resilience are found to facilitate the problem-solving ability. Also, it was confirmed that each of the two sub-factors of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 were used as mediation for the critical thinking of childcare teacher to facilitate the problem-solving, and tha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mediation effect and the mediation effect of inner factors were comparatively larger.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as the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 is to facilitate both the critical thinking and the problem-solving ability, the child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do their best to teach the critical thinking for childcare teachers and to increase their resilience in the field of child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