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醴泉 仙夢臺의 장소성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선몽대는 遇巖 李閱道가 그의 나이 26세 때인 1563년에 건립한 것이다. 이열도는 퇴계 이황의 從孫子로 선몽대 건립 후에 퇴계가 직접 편액을 써 줄 정도로 특별한 사랑을 받았다. 이열도는 유년시절부터 퇴계의 조카인 遠巖 李㝯와 퇴계의 손자인 李宗道 그리고 松巖 權好文 등과 함께 퇴계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퇴계가 지은 칠언절구 한 수는 선몽대를 마음을 수양하고 학문을 탐구하는 일반적인 정자와는 다른 측면이 있고, 遊賞의 이미지와도 그 의미에 있어서 차별성을 지니게 하였다. 그리하여 명현석학과 시인묵객들로 하여금 선몽대를 찾게끔 종용하였고, 그 결과 차운시라는 결과물이 창작되었다. 선몽대는 450년이라는 장구한 세월 동안 약포 정탁, 서애 류성룡, 학봉 김성일, 청음 김상헌, 한음 이덕형, 동원 정호선 등의 홍유석학과 송암 권호문, 청대 권상일 등 시인묵객들의 시적 소재로 각광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한음의 후손, 동원의 후손, 그리고 청음의 후손은 이곳에 들러 선조의 시판을 보며 조상의 정신을 기리는 추모의 공간으로 재인식함으로 인해 선몽대의 장소성과 그 의미가 더욱 구체화되기에 이른다. 여기에서 우리는 선몽대가 유상처의 기능을 넘어 추모의 공간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scenic views of Yecheon(醴泉), were examined. Seonmongdae was built in 1563 when Wuam(遇巖) Lee Yeol-do(李閱道) was 26 years old. Lee Yeol-do was Toegye Lee Hwang’s brother’s grandson, and was loved by Toegye so much that Toegye even wrote the tablet of Seonmongdae himself after its construction. Lee Yeol-do studied under Toegye’s instruction with Toegye’s newphew named Wonam(遠巖) Lee Kyo(李㝯), Toegye’s grandson named Lee Jong-do(李宗道), and Songam(松巖) Kwon Ho-mun(權好文), etc. since his childhood. One phrase from the seven-Chinese character-quatrain written by Toegye created a new image of Seonmongdae with that of a Taoist hermit,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images of general pavilions, that is, self-cultivation and academic study, and also differentiated from the images of enjoyment at leisure in its meanings. Accordingly, noted wisemen, great scholars, poets and calligraphers were encouraged to visit Seonmongdae, and as the result, Chawun poem was created. Seonmongdae had been spotlighted as the poetic material by respectable great scholars, such as Yakpo Jeong Tak, Seoae Ryu Seong-ryong, Hakbong Kim Seong-il, Cheongeum Kimsangheun, Haneum Lee Deok-hyeong, Dongwon Jeong Ho-seon, and poets and calligraphers, such as Songam Kwon Ho-mun and Cheong-dae Kwon Sang-il for the vast reaches of time as long as 450 years. Moreover, the descendants of Haneum, Dongwon and Cheongeum rediscovered Seonmongdae as the place to commemorate the spirit of their ancestors visiting it and reading the poems written by their ancestors, so the placeness and its meaning of Seonmongdae became more specific. Here, we can see that Seonmongdae was used as a place for commemoration beyond the place for enj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