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동통신사의 일부 유통점에 대한 차별적 장려금 지급으로 인해 단말기 추가지원금의 허용치를 초과하는 지원금이 지급되어 이용자 차별이 발생하고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유통점 간 장려금의 합리적인 차등 폭을 설정하는 방안이 논의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원금 규제를 폐지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초과지원금 허용, 장려금 상한제, 지원금 규제 폐지의 각 규제 상황이 총이윤, 이용자 후생, 사회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두 이동통신사가 기존시장과 신규시장에서 지원금으로 경쟁하는 상황을 분석한 결과, 총이윤은 초과지원금 허용에서 가장 높고, 사회후생은 장려금 상한제에서 가장 높다. 이용자 후생은 신규시장의 경쟁 정도와 장려금의 규제 정도에 따라 장려금 상한제 또는 지원금 규제 폐지에서 가장 높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 목표가 사회후생 증대에 있다면 장려금 상한제가 효과적일 수 있지만, 이용자 후생 증대가 목표라면 단말기 지원금 규제 시 신규시장의 경쟁 정도와 장려금의 규제 정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andset subsidy regulation on mobile carriers’ profits, consumer surplus, and social welfare. I consider three cases of regulating handset subsidies. The first case is when excess subsidies are permitted. The second case is when the subsidy cap is set. The third case is when the subsidy regulation is abolished. Considering two carriers competing in subsidies in existing and new markets, I show that the carriers’ profits are highest in the first case. If competition in a new market is sufficiently intense and the subsidy cap is sufficiently high, then consumer surplus is highest in the second case. Otherwise, it is highest in the third case. Social welfare is highest in the second case. The results suggest that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welfare, setting a subsidy cap may be effective. If the objective of policy is to increase consumer surplus, the regulatory agency needs to consider the level of competition in a new market and the subsidy c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