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국내외적으로 노인의 주거와 관련하여 지역사회계속거주(AIP)와 커뮤니티케어 정책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년기 지역사회계속거주의 주요한 요인을 주거환경과 이웃관계의 건강함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의 삶에 영향을 주는 주거환경 만족 유형으로 시설⋅서비스 불만족, 시설 불만족⋅서비스 만족, 시설 만족⋅서비스 불만족, 시설⋅서비스 높은 만족의 4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유형으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형의 특성 및 영역 간의 상호 연관성, 유형별 이웃관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주거환경의 시설 또는 서비스 영역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이웃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계속거주를 위한 커뮤니티케어 기반 주거환경 개선과 노인의 건강한 이웃관계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Aging In Place(AIP) and Community care policies have become important concerning the housing of older peopl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neighborhood relationships as the main factors of Aging In Place(AIP) in old age. We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the ‘2019 Korea Housing Survey to analyze the typ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Four typ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were derived: the ‘facility and service dissatisfaction’, the ‘facility dissatisfac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the ‘facility satisfaction and service dissatisfaction’, and the ‘facility and service high satisfaction’. In additio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derived type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and the effect on neighborhood relationships by type. It was found that if any one of the facilities or service area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satisfie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neighborhood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community care and the healthy neighborhood relationships of older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