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이 연구는 음운인식 프로그램이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문식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추후 청각장애 아동의 문식성 중재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 아동 3명으로 인지적 결함이 없는 아동들이다. 연구대상의 음운인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증열, 김영숙, 박순길(2017)의 한국어 읽기·쓰기 진단 검사 중 음운인식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문식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증열, 김영숙, 박순길(2017)의 한국어 읽기·쓰기 진단 검사 중 단어 읽기 검사, 단어 읽기 유창성 검사, 단어 받아쓰기 검사와 김영숙, 조증열, 박순길(2020)의 한국어 언어·읽기 이해력 진단 검사 중 읽기 이해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음운인식 프로그램의 목표어휘는 아동의 연령과 흥미를 고려하여 단어, 음절, 음소 수준의 음운인식 과제를 만들어 18회기로 구성하였고, 주 1회기 40분의 중재를 적용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아동들의 음운인식 능력과 문식성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음운인식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청각장애 아동의 문식성 또한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 음운인식 중재가 청각장애 아동의 문식성인 단어 읽기, 단어 읽기 유창성, 단어 쓰기, 읽기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운인식 능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청각장애 아동의 문식성 향상을 위하여 음운인식에 대한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 phonological awareness program on hearing-impaired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nd literacy.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literacy mediation of hearing-impaired children.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ree hearing-impaired children attending a general school without any cognitive deficit. to measure the subjects’ level of phonological awareness, a phonological awareness test among The korean test of literacy diagnosis developed was used. In addition, word reading test, word reading fluency test, and word dictation test among The korean test of literacy diagnosis developed were used,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 among Korea Test of Language and Literacy Skills developed was used to measure their literacy. As for the target vocabulary of phonological awareness program, considering the children’s age and interest, a phonological awareness task was made in the level of words, syllables, and phonemes, with application of mediation consisting of 18 sessions (one 40-minute session per week). The children’s improvement in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literacy was measured using pre-post tests. [Results] implementing a phonological awareness program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hearing-impaired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dditionally, the hearing-impaired children’s literacy was also generally improved.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phonological awareness mediation improves hearing-impaired children’s literacy including word reading, word reading fluency, word writ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well a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Therefore, phonological awareness mediation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hearing-impaired children’s lite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