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트라우마 반응으로 바라봄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을 보다 전인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와 문제행동 중재방법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트라우마에 대한 뇌신경생물학적 관점을 고찰하고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트라우마 반응의 유사성을 설명한 후 중재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문제행동 중재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차적으로 표출된 지적장애학생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제거해야하는 ‘나쁜’ 것이 아니라 트라우마에서 벗어나기 위한 생존반응임을 인식하고 지적장애학생에게 ‘필요한’ 것이라는 공감의자세가 요구된다. 둘째, 문제행동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적장애학생의 삶의 역사를 충분히 수집하고 트라우마 경험을 지적장애학생 당사자의 관점에서 의미를 탐색해야 한다. 셋째, 지적장애학생의 트라우마 회복을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안전감을 담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트라우마 경험으로 무너진 지적장애학생의 자원과 역량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행복과 같은 긍정적 심리를 중재 과정에 포함해야 한다. 다섯째, 안전한 환경에서 지적장애학생을 중재하기 위하여 교사는 자신의 트라우마 반응을 탐색하고 자각하는 능력을 함양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상태로 지적장애학생을 만나야 한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트라우마의 재경험에 의한 생물학적 생존반응으로 해석하고 공감에 기반한 인간 중심 접근을논의함으로써 문제행동 중재방안의 확장을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intervention method by viewing the problem behavior as a trauma-informed response from neurobiology perspective. The main implications for behavioral interven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re survival responses to escape from trauma and empathize with the problem behavior. Second, the history of the liv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uld be fully collected in order to understand behaviors in nature. Third, it is necessary to ensure a sense of safety for the trauma recover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urth, positive psychology such as happiness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ervention process to restore the resources and abilit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have collapsed due to trauma experience. Fifth, teachers should develop their ability to explore and perceive their trauma responses, and be in a safe and comfortable state. This study identified the trauma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discussed a careful approach that refl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considers problem behavior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a biological survival reaction caused by re-experience of trauma and discusses human-centered interventions that sympathize with their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