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2010년대 초반부터 공유된 이환천의 페이스북 시와 유튜브를 대상으로 1인 미디어 문예콘텐츠의 출현이 기존의 시와 비교할 때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하는 점이 검토됐다. 먼저, 이환천은 등단과 (인쇄)출판의 권위를 통해 작동되는 기존 문단의 바깥에서 사유하는 페이스북 이용자였다. 그의 시는 기존 문단의 등단·출판 제도 바깥인 페이스북에서 그 제도와 무관한 타자성을 드러냈고,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기호에 맞게 흥미성이 강조됐다. 그리고, 그의 시에서는 2010년대의 현실을 살아가는 생생하고 감각적인 청년세대의 일상이라는 풍경이 발견됐다. 그의 시에서는 시인과 화자의 관계가 지닌 기호론적인 인식 구도가 전도됨으로써 기존의 시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사소하거나 비서정적인 욕망·아쉬움·어려움 등이 그 내용으로, 또한 비전문적인 자신과 친구·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형률이 그 형식으로 선택됐다. 마지막으로, 그는 유튜브 동영상을 통해서 시인의 탈권위성을 보여줬다. 그의 동영상에서 시인은 자기 부정적인 언행을 드러내 허세가 노출되거나, 일상에서 쉽게 떠올릴 수 있는 비독창적인 내용을 가지고서 각운법·반복법을 활용해 작시함으로써 탈권위화됐다.


From the early 2010s, Lee Hwan-cheon's one-person media literary contents appeared. One-person media mainly means Facebook and YouTube. His literary contents are very different compared to the existing poems.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meaning of Lee Hwan-cheon's one-person media literary contents. Firstly, Lee Hwan-cheon thought outside the existing parnassus. The existing parnassus respected the authority of debut and publication. Lee Hwan-cheon showed otherness that had nothing to do with the debut and the publishing system. He presented an interesting attempt, unlike conventional poetry. And, in his poems, the vivid and sensuous daily life of the young generation living in the reality of the 2010s was discovered. In his poems, he is like a poet and a narrator. He talked about trivial or non-lyrical desires, regrets, and difficulties that were not noticed in the existing poems. He showed a stereotyp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non-professionals himself and his friends and ordinary people. Finally, he criticized the poet's authority through a YouTube video. In his video, the poet showed his bluff by revealing his negative words and actions. The poet used rhyme and repetition to write about non-original content that can be easily recalled in everyday life. In this way, Lee Hwan-cheon's one-person media, literary and artistic content was a product of the Web 2.0 environment. In addition, his literary contents showed a new poetic trend in the Web 2.0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