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맨드 토포그래피(mand topography) 사정을 통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자해행동과 맨드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자해행동을 빈번하게 나타내는 중학교 3학년 자폐성장애 학생 한 명이다. 먼저, 자해행동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능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능분석은 유형물, 관심 얻기, 과제 회피, 놀이의 4가지 조건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기능분석 결과, 유형물을 얻기 위해 자해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맨드 토포그래피 사정을 실시하여 학생에게 숙련도가 높은 맨드 토포그래피(제스처)와 숙련도가 낮은 맨드 토포그래피(마이크로스위치)를 선정하였다. 이후, 교대중재 설계법을 적용하여, 제스처를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에 통합한 중재와 마이크로스위치를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에 통합한 중재를 교대로 제공하고, 자해행동 발생과 맨드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자폐성장애 학생은 숙련도가 높은 맨드 토포그래피인 제스처를 사용하여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자해행동이 감소하고 맨드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through mand topography assessment on mand and self-injurious behavior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male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ho are attending special education school. Fun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four conditions: Tangible, Attention, Escape, and Play. The result of FA showed that self-injurious behavior was shown to obtain tangible. Then, Mand Topography Assessment was conducted to select high-proficiency mand topography (gesture) and low-proficiency mand topography (microswitch). The Alternative Treatment Design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two conditions. The effects of the occurrence of self-injurious behavior and mand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alternating providing interventions that incorporate gestures and microswitch into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The results showed that FCT incorporating gestures (high-proficiency) was more effective than FCT incorporating microswitch (low-proficiency) in order to decrease stduent’s self-injurious behavior and increase the frequency of mand occur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