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형식의미론 전통에서 빈도부사는 양화사의 한 부류로, 빈도부사를 포함한 문장은 연산자, 제약부, 작용역의 의미구조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이론적 설명은 빈도부사를 포함한 문장의 의미와 관련하여 매우 직관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다만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빈도부사의 제약부가 언어적으로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론적으로 가정된 이러한 제약부의 존재를 직접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 글에서는 제약부 한정이라는 빈도부사의 기본 의미 특성과 관련하여 빈도부사의 범주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 빈도부사에는 고도로 한정적인 제약부를 필요로 하는 강양화적 빈도부사와 그렇지 않은 약양화적 빈도부사의 두 하위부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항상, 대개’ 등은 전자의 경우에 해당하여 사건들의 집합으로 주어지는 제약부를 요구하며 문장에서 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만이 유일한 양화의 배경 영역으로 주어지는 경우에는 그 쓰임이 어색해진다. 이러한 이론상의 가정은 실험을 통해 다시금 확인된다. 비가시적인 제약부 한정 양상은 문장에서의 작용역 중의성 해소 양상을 매개로 논의된다. 빈도부사와 부정어가 함께 포함된 문장에서는 이 두 연산자 간의 작용역 다툼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들 중 무엇이 더 넓은 작용역을 갖는지로부터 빈도부사가 제약부 한정과 관련하여 가지는 의미 특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dverbs of frequency in relation to their restriction in the quantificational domain through an experimental study. This study was inspired by Paik (2019) who closely explored the semantic structure of Korean adverbs of frequency. This study’s experimental methods were based on those used by Brasoveanu and Dotlačil (2015) who indirectly confirmed the lexical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quantifier “each” when the speaker uses the working scope-taking strategy with other semantic operators in the same sentence. This study’s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wo classes of frequency adverbs in Korean. The first class is strong quantifiers, which require a specific set of events as the restriction of quantification, such as “항상 (always)” and “대개 (mostly).” The second class is weak quantifiers, which do not require a proportional interpretation, such as “자주 (often)” and “가끔 (sometimes).” This categorization is a product of the scope-taking strategy between adverbs of frequency and neg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