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보다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거세지고, 동물복지를 고려한 윤리적 소비가 확산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는 2012년도부터 동물 사육환경 개선 및축산업 경쟁력 제고 등을 위해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제 도입하고 있으며, 2021년 현재 돼지17, 젖소17, 닭265농가, 한우1농가 인증으로 매우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육우(한우)의 국내·외 사육기준 제도 현황분석 및 일반농가 실험을 통해 국내 동물복지 인증기준의 사육면적에 따른 적절한 사육공간 면적 기준을동물복지디자인의 한 분야로 보고 공간디자인 측면에서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한우농장 실험 경산우 12 두, 비육우 7두, 육성우 7두가 사용 됐으며, 2020년 10 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한우농장에서 현장실험을이행하였다. 총 7개의 실험축사를 설정하고 CCTV를통해 24시간 동안 녹화된 영상을 통해 소의 상대적행동특성을 4가지 누워있는 시간(LD), 서있는 시간(ST), 자가 손질(SG), 싸움(FT)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경산우는 발정 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승가행위(MT)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축사설계에 따른 적정한 사육면적공간 설계를 목적으로 육우(한우)의 행동특성에 따른공간설정을 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종합분석을 통해 일반농가에서 한우 사육공간 면적은 동물복지 측면에서 소의 상대적 행동특성을 반영하고, 실제 일반농가에서의 사육시설 공간을 고려할 때 경산우6x6(m)에서 5두 이하, 비육우 4x8(m), 4두 이하, 육성우 4x8(m), 4두 이하가 적절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축사 설계에 적용되어야 한다.


Recently, interest in animal welfare and consumers' demand for safer food is growing, and ethical consumption considerate of animal welfare is rising. Since 2012, Korea has introduced a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animal welfare livestock farm to improve the animal breeding environment and boost the competitiveness of the livestock industry: but as of 2021, it has been very low with certification of 17 pig, 17 dairy cattle, 265 chicken, and 1 Korean native cattle farming houses. This study began from a space design perspective by seeing the appropriate breeding area space standard as a single field in terms of the standard domestic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 breeding system and experiment of general farming houses. In this study, twelve cows, seven beef cattle, and seven heifers were selected for the Korean native cattle farm experiment- with the field experiments being conducted from October 1 to December 31, 2020. A total of seven experimental livestock houses were selected, and a 24 hour CCTV recording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m into four groups: lying-down time (LD), standing time(ST), self-grooming (SG), fighting (FT), with an additional analysis of mounting activity (MT) made to check the affect it has on the estrous cyc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appropriate breeding area space according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beef cattle (Korean native catt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that the space in general farms for Korean native cattle breeding reflects the rel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attle in terms of animal welfare; when considering the space of the breeding area, 6x6(m) for below five cows, 4x8(m) for below four beef cattle, and 4x8(m) for below four heifers was appropriate. Based on these results, it should be applied to the livestock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