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움베르토 에코의 기호학과 구조 개념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는 데있다. 에코의 연구는 이 일반 기호학의 특성들을 찾으려는 긴 과정이었다. 에코는 퍼스의 기호 구성 모델의 해석체 개념을 도입하여 일반 기호학에서 내세울 세미오시스의전형으로 삼는다. 에코는 이 세미오시스의 기제로 자의성을, 완전한 무연성(無緣性)을바탕으로 하는 언어 기호의 개별적 특성 넘어, 일반 기호학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주목한다. 에코는 해석이라는 관점에서 의미의 생성 과정과 존재 양상을 기술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이런 에코의 노력은 자신의 ‘해석’ 개념의 유동성과 ‘의미’ 개념의 불확정성 사이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는 종합적인 자세로 드러난다. 완전히 무한한 의미의 발생으로 인한 확정된 진리의 부재를 주창했던 포스트모더니즘의영향 속에서, 에코가 ‘과해석’을 경계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들을 제공했다는 것도, 그가 평가받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에코가 구조의 개념과 완전히 결별했다거나 활용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이러한 모호한 관계 설정이 구조 개념 자체에 대해서도, 주체의 해석에 대해서도 더 심화하여 연구할 것을 남겨두는 결과를 초래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semiotics and structural concepts of Umberto Eco. Eco’s research was a lengthy process to discover the properties of this general semiotics. He introduced the notion of interpretant in the sign construction model advocated by Peirce and uses it as the epitome of semiosis to be put forward in general semiotics. Eco paid attention to arbitrariness a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general semiotics beyond the characteristic of linguistic signs based on complete unmotivated relationship. This semiosis makes arbitrariness a characteristic of general semiotics beyo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signs based on complete unmotivated relationship. Eco made various attempts to describe the creation process of meaning and its mode of 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pretation. These efforts are revealed in a comprehensive attitude that does not make an extreme choice between the fluidity of his concept of ‘interpretation’ and the uncertainty of the concept of ‘meaning’.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which advocated the absence of definite truth due to the occurrence of completely infinite meanings, it is probably one of the reasons why Eco is appreciated for providing theoretical discussions that can guard against ‘overinterpretation’.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Eco completely broke with the concept of structure or utilized it. Rather, such an ambiguous relationship setting makes it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structure concept itself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