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의과대학 교육상황에 맞는 온라인 수업준비도 척도를 타당화 하고, 교수의 전공계열과 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온라인 수업준비도 검사의 타당화를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국 의과대학 교수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준비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Mann-Whitney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형 의과대학 온라인 교수준비도 척도는 교수자 시간관리, 온라인 수업설계, 온라인 수업도구 사용, 온라인 수업태도 교육, 수업시간 외 학생과의 의사소통,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수업사전준비의 7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의과대학 교수의 전공계열에 따른 온라인 수업준비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교육경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후 의과대학 전공계열 특성별 온라인 수업 준비도 제고를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faculty’s readiness to teach online scale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y the major field and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i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readiness to teach online scale was validated using factor analysis, and the scale was conducted on 250 faculties at medical schools nationwid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Mann-Whitney test. As the results are the scale consists of seven factors: time management, online class design, using online teaching tools, online teaching attitude education, after-hours communication, class interaction, and before class prepa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ess to teach online by the major field of professors, but no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After that,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readiness to teach online by medical school major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