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아의 창의성과 미적 감수성을 길러주는 것은 교사의 전문성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미술교육 내용지식이 미술교수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미술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시의 어린이집 교사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세 개의 회귀방정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미술교육 내용지식과 미술교수효능감, 미술교수 학습활동 간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술교육 내용지식과 미술교수 학습활동의 관계에서 미술교수효능감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미술교수 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도록 하는데 미술교육 내용지식과 미술교수효능감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Nurturing children’s creativity and aesthetic sensitivity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t education content knowledge on ar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rt teaching efficacy in their relationship.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targeting 219 daycare center teachers in G city. For the collected data, three regression equations were used to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using the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rt education content knowledge, art teaching efficacy, and art teaching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art teaching 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knowledge and art teach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rt education content knowledge and art teaching efficacy are important variables to effectively implement ar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