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연구목적은 서부경남지역 농악의 지역성과 각각의 차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의령집돌금농악, 진주농악, 삼천포농악, 진주・삼천포농악, 함안농악의 장단, 편성, 판제(진법), 의상과 도구를 비교하여 고찰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단에서 ‘이채’, ‘삼채’ 등 호남지역 농악 용어를 진주, 삼천포농악에서 사용하는 것은 뜬쇠 및 기획자들이 차후에 명명한 것이다. 둘째, 편성에서 의령과 함안에 나타나는 벅구(꼬깔)와 목나발은 두레농악의 특징이며, 12발상모는 기예(技藝)이기 때문에 두레농악에 없는 것이 보편적인데, 함안에는 존재한다. 셋째, 판제(진법)에서 의령은 당제 후,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안녕을 기원하는 축원농악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함안농악은 두레형 걸립농악이라고 하나 판제는 존재하지 않으며, 진주, 삼천포, 진주・삼천포농악처럼 12차로 판제를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의상과 도구에서 의령집돌금농악은 민복(民服)이 주류이고 잡색들이 탈을 쓰고 있으며 진주・삼천포농악의 의상과 도구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본고는 서부경남지역의 농악 연구를 학술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이론적 체계정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ongak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and their differences. The research method was reviewed by comparing the rhythm, arrangement, panje (jinbeop), costumes and tools of Uiryeongjip Dolgeum Nongak, Jinju Nongak, Samcheonpo Nongak, Jinju/Samcheonpo Nongak, and Haman Nongak.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Nongak terms in the Honam region such as ‘Ichae’ and ‘Samchae’ in Jangdan in Jinju and Samcheonpo nongak was later named by Teunsoe and planners. Second, Beokgu (kokal) and Moknabal appearing in Uiryeong and Haman are characteristic of Durenongak, and since 12Balsangmo is a technique, it is common that Durenongak does not have it, but it exists in Haman. Third, in Panje (Jinbeop), Uiryeong takes the form of Chukwon Nongak, which goes from house to house to pray for well-being after the Tang Dynasty. It seems that the board was arranged in 12 lanes like a Nongak. Fourth, in terms of costumes and tools, the folk clothes of Uiryeongjib Dolgeum Nongak were the mainstream, and various colored masks were wor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stablishing a theoretical system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insufficient research on Nongak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academ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