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장애인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논의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장애인의 나이 들어가는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고령뇌성마비장애인구층의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을 위한 함의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 10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면접내용을 분석하고 중심의미를 구성하고, 드러난 주제와 본질적 주제를 범주화하였다. 구성된 본질적 주제는 ’굳은 몸으로 견뎌내는 이차장애의 질곡(桎梏)’, ‘없는 존재, 노령의 늪에서 더 고립됨’, ‘배움과 소통의 움직임으로 삶의 열정 일깨우기’, ‘죽음 인식의 양면: 동등함과 억울함 사이’, ‘독립과 어우러짐의 노년 그리기’로 명명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고령뇌성마비장애인의 이차장애 완화 및 예방을 위한 체계적 건강관리, 지지망 확대, 주간보호시설 확충, 정신건강의 지원, 노년의 독립성 및 공동체 거주의 지원 등을 제안했다. 본 연구결과는 인문학적 복지적 시사점과 한계점을 지니므로 향후 연구들을 통해 다각적 논의들이 전개될 것을 기대한다.


Recently, social discussions are being raised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disabled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aging experience of people with cerebral palsy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upport system for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cerebral palsy. To this e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10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the central meaning was constructed, and the revealed and essential themes were categorized. The essential themes consisted of ‘the fetter of secondary disability to endure with a rigid body’, ‘nonexistence, more isolated from the swamp of old age’, ‘awakening passion for life through the movement of learning and communication’, and ‘both sides of death awareness: Between equality and injustice’ and ‘drawing old age of independence and harmony’. Based on the results, systematic health management and treatment for secondary disability alleviation and preven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cerebral palsy, expansion of support networks, expansion of day care facilities, clinical intervention in mental health, active old age and community life support has been suggested. S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humanities and welfa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discussions will be developed through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