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호주와 미국의 거대산불, 슈퍼태풍, 폭우장마 등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기후위기 대응 탄소 흡수기능을 수행하는 산불재난 예방과 대비 시스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대안을 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산림보호법상 등의 산불 예방 대비의 작동성에 대한 법규정들과 관련 선행 연구를 문헌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산불의 예방과 대비에 대한 산림청 중앙산불조사위원 경험을 토대로 산불발생 예방과 대비 체계의 문제점, 스마트 인공지능 시스템의 연계 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산불예방 대비 시스템의 작동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신림기본법과 산림보호법상의 산불예방과 대비 규정들을 가칭 “산불의 예방과 관리에 관한 법률”로 이관하여 새롭게 입법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스마트 산불예방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산림보호법 등의 개정에 지침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problems in the forest fire disaster prevention and to remove the improvement measures. The methods of research were reviewed for the regulations on forest fire prevention under the Forest Protection Act, which were the basis for forest fire disaster response, and related prior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Central Forest Fire Investigation Committee of the Korea Forest Service on the prevention of forest fires, the research contents analyzed the causes of forest fires and problems in the response syste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forest fire prevention system, the forest disease and landslide sectors under the Forest Protection Act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relevant fields, and the forest fire response areas should be legislated individually to enact the tentatively called “Act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Fire.” The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guideline for future revisions of the forest protection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