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元雜劇 『西廂記』가 민국시기에 전파되고 수용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민국시기에도 여전히 공연과 출판을 통해 서상기가 전파되었다. 곤극 서상기가 1940년대까지 여전히 공연된 동시에 다양한 지방희와 설창 양식의 서상기도 인기를 얻었으며 잡지에 그 대본이 수록되기도 했다. 또 영어로 공연한 서상기가 홍콩과 런던에서 상연되기도 했다. 또한, 약 50여 종의 김성탄본 서상기 뿐만 아니라 명간본 및 제궁조 서상기도 출판되었다. 이와 동시에 민국시기에는 ‘西廂故事’를 그 당시 등장한 새로운 장르와 매체를 통한 재창작이 활발하게 이뤄졌다. 그림과 쉬운 백화를 사용한 만화와 소설 서상기가 창작되어 신문과 잡지에 연재되었다. 또한 흑백무성영화 <서상기>(1927)와 흑백유성영화 <서상기>(1940)가 개봉되어 흥행에 성공했다. 이러한 새로운 흐름 속에서 『서상기』의 인물과 주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등장했다. 새로운 여성관의 등장으로 앵앵보다 홍낭이 더욱 중요하게 다뤄졌고, 작품의 의의를 주제의 혁신성에서 찾는 경향도 두드러졌다.


This paper examines variable aspects of spread and reception of Xixiangji during the Republican period. While Kunqu Xixiangji was still performed until the 1940s, Xixiangji in various styles of local dramas and talking-and-singing performances became popular, and the scripts of them were published in magazines. At the same times, various versions of Xixiangji with Jin Shengtan’s commentaries were published. The re-creation of Xixiangji was actively carried out through new genres and media that appeared at that time. Cartoons and novels of Xixiangji story using pictures and easy language were created and serialized in magazines. Also, two films titled Xixiangji were very successful at the box office. In this new flow, new interpretations of the characters and themes of Xixiangji emerged. With the advent of a new view of women, Hongniang was treated as more important character than Yingying, and the tendency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in the innovativeness of the story itself was also promin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