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하나의 연결망으로서의 제국’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제국의 현상 혹은 제국의 징후로서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역병의 플롯과 내러티브를 분석한다. 아테네 역병은 비극작가들의 예술 언어에도 변화를 가져왔고, 이로써 예술의 치료적 효과가 강조되었다. 역병 절정기에 디오니소스 극장은 ‘질병 상상계’의 우세를 보였고, 그 중에서도 『오이디푸스 왕』은 역병에 대한 광범위한 설정과 상세 사항으로 구성되고 전개된다. 『오이디푸스 왕』의 플롯과 내러티브는 1) 제국의 욕망과 오이디푸스의 욕망, 2) 스핑크스의 질문과 자기 반성적 성찰, 3) 토템과 타부의 내러티브, 4) 비난의 메커니즘과 희생양의 측면에서 전개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비극의 효용성을 연민과 공포를 통한 카타르시스(정화, 치료)라고 하였듯이,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역병의 치료는 더러움을 찾아 제거하는 정화에 있다. 이때의 정화는 공중 보건적 정화가 아니라 정치적 정화이다. 테베 시민들은 오염 덩어리를 공동체 밖으로 몰아내는 책무를 정치 리더십 오이디푸스에게 맡긴다. 지중해 패권을 장악한 아테네는 제국의 교류와 번영으로 자신감이 충만했고, 전쟁에 대한 승리의 확신감과 자신감이 넘치는 자제할 줄 모르는 제국이었다. 하지만, 제국의 연결성으로 인해 역병은 공동체의 제반 관계의 와해를 가져왔다. 제국의 욕망은 젊고, 나르시스적 자기 확신과 자만심에 찬 오이디푸스에게 투사된다. 공동체의 오염은 오이디푸스의 친부살해와 근친상간의 타부에서 비롯된다. 오이디푸스는 희생양으로 지목되고, 비난의 메커니즘에 따라 공동체에서 추방된다. 오이디푸스는 ‘이것은 무엇인가’→‘그는 누구인가?’→‘나는 누구인가?’라는 여러 단계의 텍스트 해석학을 거치면서 자기 반성적 성찰에 이른다.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역병은 사회질병 혹은 제국의 질병 인식에서부터 사회 구조와 특성에 대한 이해 너머 사회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기표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plot and narratives of Sophocles’ Oedipus the king as the phenomenon of empi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empire as a network and connectivity. The plague of Athens during the Peloponnesian War affected the language of Greek tragedians. The Theatre of Dionysus represented ‘the disease imaginary’ and Oedipus the King is developed with the setting and details of the plague. The plot and narratives of Oedipus the King follows the four steps; 1) crossing between the desire of Empire and the desire of Oedipus 2) ‘Riddle of the Sphinx’ and self-reflection 3) the narratives of taboo and totem 4) the defense mechanism and scapegoat. As Aristotle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Greek Tragedy is katharsis through pity and fear, the remedy in Oedipus the King is also katharsis, not biological but sociopolitical katharsis. The desire of the Athenian Empire is projected on young, narcissistic Oedipus who has too much pride and hubris. Oedipus reaches a state of true self-reflection going through the textual hermeneutics; what is it?→who is he→who am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