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춘천닭갈비에서 빼놓을 수 없는 메뉴인 ‘우동 사리’에 주목하여, 그것의 사회문화적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우동 사리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철판에 볶아 먹는 닭갈비가 등장한 이후 닭갈비라는 음식의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닭갈비가 여전히 안주로서의 의미를 많이 지니고 있던 ‘뼈 있는 닭갈비’ 시절에는 먹어볼 것 없는 닭갈비를 대신하여 우동 사리가 사람들의 배를 부르게 해줬다. 배불리 외식했다는 특별한 경험을 만드는 데 우동 사리가 기여한 것이다. 그러나 ‘뼈 없는닭갈비’가 등장한 뒤에는 우동 사리가 간식의 역할을 하였다. 주식과 간식이 한데 어우러진, 누구나 즐겁게 먹을 수 있는 식사로서 닭갈비의 정체성이 변화하면서 우동 사리의의미 또한 달라진 것이다. 이로 인해 오랜 기간 유지되던 닭갈비 식사의 서사 또한 변화를 맞을 준비를 하고 있다. 우동 사리는 닭갈비의 정체성 변화와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다. 앞으로도 닭갈비와의 아름다운 조합을 통해 우동 사리가 맛있는 메뉴로 남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udon sari’, an indispensable menu item in Chuncheon Dakgalbi(chicken ribs), and examines its socio-cultural mean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udon sari, it is necessary to check how the identity of the food called dakgalbi has changed since the appearance of fried dakgalbi on an iron plate. In the days of ‘dakgalbi with bones’, when dakgalbi was still very meaningful as a side dish, udon sari served people’s stomachs instead of dakgalbi, which was worth trying. Udon Sari contributed to creating a special experience of eating out. However, after ‘boneless dakgalbi’ appeared, udon noodles served as a snack. As the identity of dakgalbi has changed as a meal that anyone can enjoy as a combination of staple food and snacks, the meaning of udon sari has also changed. Due to this, the narrative of the dakgalbi eating,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is also preparing for a change. Th e udon sari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identity of dakgalbi. In the future, I hope that udon sari will remain as a delicious menu item through a beautiful combination with dakgal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