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20년 5월 발생한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소수자 ‘문제’가 한국의 생명정치적 방역 체제 내 합리성, 민주성, 시민성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고 주장한다. 코로나 발생 초기, 한국의 방역 체제는 투명성, 개방성, 민주성 원칙에 근거한 이상적 방역 모델로 주목받았다. 그 결과 민주적 시민성은 바이러스로부터 안전을 목표로 한 자발적 연대의 가입 여부에서 평가되곤 했다. 하지만 이태원클럽 집단 감염 당시 성소수자들의 검사 기피 문제는 민주적 방역이 구조적으로 존재해 온 차별에 대응하는 데 취약하다는 점을 드러냈다. 심각성을 인지한 방역 당국은성소수자 인권 단체들과 거버넌스를 결성해 방역 위기를 해소했다. 하지만 이례적인거버넌스에도 불구하고, 성소수자의 시민성은 방역 차원에서만 정의되었고 성(性)과시민성의 관계에 대한 질문은 또다시 지연되고 있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sexual minority ‘problem’ in South Korean society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rationality, democracy, and definition of citizenship embedded in South Korea’s biopolitical responses to COVID-19 through the case of the Itaewon ‘gay club’ mass infection in May 2020.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COVID-19 pandemic, South Korea’s quarantine and isolation strategy was praised as an ideal model for infectious disease control that is transparent, open, and democratic. As a result, democratic citizenship became reconciled with the voluntary engagement in anti-virus solidarity. However, the Itaewon ‘gay club’ outbreak and the avoidance of COVID-19 tests among sexual minorities revealed that South Korea’s democratic disease control system could not operate properly in the face of pre-existing, systemic discrimination.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an extraordinary governance in collaboration with LGBTQ rights groups to address the obstacles faced by the quarantine measures. Yet, this one-of-a-kind event merely defined the sexual minorities’ citizenship in terms of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the questions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sexuality and citizenship continue to remain unansw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