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의 자산기반복지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소득, 자산, 부채가 조세부담 인식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적으로 증명하고자 했다. 코로나19 이후 보편적 사회보장제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향후 복지지출 확대를 위한 증세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리라고 예측되는 상황에서 이 글은 조세부담의 공정한 배분에 대해 시민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계층별 조세부담 인식구조를 유형화했다. 그리고 자산기반복지의 핵심적인 자원인 소득, 자산, 부채가 조세부담 인식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인식구조의 유형에 따라 복지지출 확대를 위한 증세의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잠재집단 분석 결과 한국 사회의 조세부담 인식구조는 세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역진적 구조형’이 48.69%, ‘고소득층 저부담형’이 23.75%, ‘중간층 과부담형’이 27.56%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각 유형에 속할 확률에 소득, 자산, 부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소득이 높을수록 고소득층 저부담형에 속할 확률이 높으며, 자산가격이 높을수록 중간층과부담형에 속할 확률은 높은 반면 역진적 구조형에 속할 확률은 낮다. 부채비율의 경우고소득층 저부담형에 속할 확률은 낮고 중간층 과부담형에 속할 확률은 높다. 마지막으로 조세부담에 대한 인식구조 유형에 따라 복지지출을 늘리기 위한 증세에 어떤 견해를가지고 있는지 알아본 결과 역진적 구조형에 비해 고소득층 저부담형과 중간층 과부담형 모두 증세에 대해 반대하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복지제공자로서 국가의 역할이 제한된 상황에서 국민은 사회적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사적자산 축적에 집중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산증식을 저해하는 증세에 대해 반대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공적복지를 통해 시민들이 삶의 안정성 향상을 체감할 기회를 점진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통해 복지국가의 정당성을 시민들로부터 확보해야만 향후 보편적 사회보장제도 구축을위한 증세가 가능해질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prove how income, assets, and debt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asis of Korea’s asset-based welfare, affect the tax burden perception structure. After Covid-19, the need to establish a universal social security system has been raised, and discussions on increasing tax to expand welfare spending are expected to take place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categorizes the tax burden perception structure by class to find out how citizens perceive the fair distribution of tax burden.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income, assets, and debts, which are the core resources of asset-based welfare, affect the tax burden perception structure. Finally, we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support of tax increasing depending on the type of perception structure. As a result of the latent class analysis, the tax burden perception structure of Korean society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with “regressive structural type” accounting for 48.69%, “satisfaction type” with 23.75%, and “middle class overloading type” with 27.56%.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income, assets, and liabil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type, the higher the incom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satisfaction type.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is low. The higher the asset pric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middle-class overburden type, while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regressive structural type. In the case of the debt ratio,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satisfaction type is low an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middle class overload type is high.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what kind of views they have on tax increases to increase welfare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perception structure on tax burden, both the satisfaction type and the middle class overburden type show relatively opposing attitudes to tax increases compared to the regressive structure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