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만 5세 아동 139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형태소인식(합성, 굴절, 파생, 동음)을 측정하여 아동의 한글 글자읽기, 단어읽기 및 단어쓰기에 형태소인식이 비언어성 지능, 음운인식, 어휘력을 통제한 이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의 비언어성 지능, 어휘력, 음운인식(음절, 초성, 종성)을 통제한 후에도 형태소인식(합성, 파생, 동음, 굴절)은 한글 글자읽기, 단어읽기 및 단어쓰기 각각의 변량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모든 예측 변수들을 회귀식에 투입한 후 얻은 최종 베타 값을 살펴보면, 음절인식과 종성인식, 동음 형태소인식은 단어읽기의 변량을 고유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종성인식과 파생 형태소인식은 글자읽기의 변량을 고유하게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종성인식은 단어쓰기 변량을 고유하게 설명하였으며, 동음 형태소인식은 경계선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 5세 아동의 파생 및 동음 형태소인식 능력은 초기 문식성 발달에 유의미한 기여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부 유형의 형태소인식과 초기 문식성 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기초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compounding, inflectional, derivational, and homophone awareness) and Hangul syllable reading, word reading, and word spelling in 139 5-year-old kindergartners in Korea. This study controlled for nonverbal intelligence, vocabulary, and phonological awarenes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Korean morphological awareness explained Hangul syllable reading and word reading and spelling over and above nonverbal intelligence, vocabulary and phonological awareness. When the final beta weights found were considered, homophone morphological awareness, as well as syllable and coda consonants awareness uniquely explained the significant variance in Hangul word reading. Additionally, derivational awareness and coda consonants awareness uniquely explained Hangul syllable reading. Furthermore, coda consonants awareness and homophone awareness uniquely and marginally explained Hangul word spelling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especially homophone and derivational awareness, contributes to the early Hangul literacy skills among kindergarten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