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제조서비스업 R&D 연구원에 가장 필요로 하는 창의성을 논의하고, 이러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 는 독립변수, 또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 그리고 개인 특성과 창의성 관계에서의 조절변수를 함께 고려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R&D 연구원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다양한 개인 특성을 반영하여 개방 적 성격, 긍정 정서, 부정 정서,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를 상정하였다. 또 연구원 개인 특성도 단일 변수가 아닌 종합적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개인 특성과 창의성 관계에서 조직 내 사회적 지원인 동 료, 상사, 조직 지원의 조절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D 연구원의 창의성에 개방적 성격, 긍정 정서, 부정 정서,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가 큰 영향을 미친다 는 가설1, 2, 3, 4, 5는 증명되었다. 둘째, 사회적 지원 중 동료 지원이 개인 특성과 창의성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 6중 일부가 증 명되었다셋째, 창의성은 R&D 연구원 창의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9도 증명되었다. 넷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개인 특성이 창의성에 중요 요소임을 인지하고 기업에서는 인재 채용에서 육성에 이르기까지 개인 특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동료 지원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rsonality,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creativity of R&D researchers. This is to conduct an integrated analysis considering all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 rather than just a single variable that affects the creativity of the researchers. Also, in relation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reativity, we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ithin the organization from various angles, such as peers, bosses, and organizational suppor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ypotheses 1, 2, 3, 4, and 5 establish that personality,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have a great positive influence on the creativity of R&D researchers. Second, some of hypotheses of 6, 7, 8 establish that support from colleague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especially positive emo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 ity. Third, hypothesis 9 establish that creativity has a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behavior of R&D researchers. Fourth, as co-workers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companies should set appropriate measures to utilize such eff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