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 우리나라의 회계이익의 품질에 변화가있었는지, 회계이익의 품질수준에 따라 회계정보의 기업가치 관련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국제회계기준의 도입 이후 회계이익의 품질과 기업가치관련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2003∼2018년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재량적 발생액(DA), 발생액 품질(AQ), 그리고 이익의지속성(EP)을 이익의 품질 측정치로 사용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 재량적 발생액 측정치(DA)와 발생액 품질 측정치(AQ)는 감소하여, 이익의 품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익 지속성의 측정치(EP)는 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 낮아져, 이익의 품질이 하락한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익의 품질을 활용한 국제회계기준 도입효과 연구가 변수의선정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이익의 품질 수준을 통제할 때, 국제회계기준의 도입 이후 이익의 기업가치 관련성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순자산장부금액은 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회계기준의 적용으로 순자산장부금액에 포함된 포괄손익 등의 정보내용이 상대적으로 투자자에게 의미있는 정보로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8년까지 16년의 장기간을 대상으로 국제회계기준 의무도입의 정책적 효과를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the quality of earnings and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after IFRS adoption.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introducing IFRS on non-financial listed companies from 2003 to 2018. As proxies of earnings quality, discretionary accruals(DA), accruals quality(AQ), and earnings persistency(EP) were used. [Finding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cretionary accruals (DA) and accruals quality(AQ) have been decreased after IFRS adoption. This means that the quality of earnings has improved after IFRS adoption. Second,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FRS adoption. On the other hand, the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 has decreased overall. This suggests that the information on net assets under IFRS may not be meaningfully accepted by investors. [Policy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 of accounting policy decision for a long period of 16 years from 2003 to 2018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IFRS.